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日소
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소
행성
착륙 당시 동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지점을 변경할 수도 있다고 JAXA측은 밝혔다. 47억년 전 태양계 생성시기와 같이 생성된 소
행성
인 류구의 물질을 수집해 생명의 기원을 밝히는 임무를 맡은 하야부사2는 2020년 12월에 지구로 시료를 가져올 예정이다. ... ...
[3·1운동 100주년]"읽고, 깨어나시오" 암울한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
과학동아
l
2019.02.28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행성
지위를 박탈당했고, 현재는 왜소
행성
으로 분류된다. ● 청소년에게 과학으로 희망을…'백두산' ‘백두산’은 1930년 10월 창간한 청소년 과학잡지로 통권 8호까지 발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창간호는 국회도서관에 보관돼 있다. 백두산을 ... ...
日 소
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류구’에 새긴 흔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상공에 도착했다. 지구와 화성 사이에 위치한 소
행성
인 류구는 지름이 880m인 원시 소
행성
으로 태양계 형성 초기의 물질이 있을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 하야부사2는 올해 7월까지 류구 터치를 2번 더 시도한 후 지구로 귀환을 시작한다. 2020년 12월 지구에 채집한 시료를 던져놓은 후 다시 ... ...
日 우주탐사선 하야부사2, 소
행성
‘류구’ 착지 후 이륙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더 시도한 후 귀환을 시작해 2020년 12월 지구에 시료를 가져올 예정이다. 하야부사2의 소
행성
류구에 챡륙한 직후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직원들의 모습. JAXA 유투브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사진 제공 세티연구소 새 위성을 발견하게 한 신기술도 주목 받았다. 연구팀은
행성
을 반복 촬영한 뒤 영상을 합치는 방법으로 매우 어두운 우주 사진을 밝게 보정하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했다.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 때 노출속도(셔터속도)를 길게 하면 빛의 양이 늘어나 밝은 사진이 된다.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수 있다는 건 행운이 아닐까. ※필자소개 심채경 경희대 우주과학과 학술연구교수
행성
천문학자. 경희대 우주과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주제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달 표면의 우주풍화 현상과 편광 특성을 연구하며 모교에서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 ...
GPS 없이도 혼자 돌아다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된다. 특히 로봇은 갑작스레 지형이 바뀌는 재난 현장 혹은 사전정보를 알 수 없는 외계
행성
같은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게 될 확률이 높다. GPS에 의존해서 로봇이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려는 기술이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이기도 한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 작성(SLAM)’ ... ...
태아별에서 생명 근원 ‘유기물’ 분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것”이라고 말했다. 정상상태(위)와 폭발적으로 밝아지는 상태(아래)에 놓여있는 원시
행성
계원반의 화학적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 폭발적으로 밝아지는 상태에 있는 V883 Ori에서는 원반이 데워져 스노우 라인이 바깥쪽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넓은 영역에서 얼음에 갇혀있던 다양한 분자들이 ... ...
美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화성 샤프산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설치된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해 얻은 성과다. 케빈 루이스 존스홉킨스대 지구
행성
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화성 중력 데이터를 분석해 화성의 지반이 다공성 물질로 이뤄진 것으로 추정한 분석 결과를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HD화질로 본 ‘울티마 툴레', 표면에 지름 0.7㎞ 구덩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탐사선을 보낸 천체 중 지구에서 가장 멀다. 카이퍼벨트는 지구, 화성 같은 태양계
행성
이 형성되고 남은 암석과 얼음 덩어리들로 이뤄져 있다. 울티마 툴레 분석을 통해 원시 상태의 태양계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