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사중나선
2020.10.09
4중나선 구조로 만들어지는 순간을 최초로 포착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화학’ 7월 20
일자
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7-020-0506-4 연구팀은 일반적인 형광물질보다 4중나선 구조에 더 잘 결합하는 형광 화합물 ‘SiR-PyPDS’를 이용해 4중나선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성공했다. 형광 화합물의 결합력이 ... ...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10.08
NASA, ESA 제공 표준우주모형은 우주가 어떻게 구성됐고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변해갈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표준우주모형에 따르면 우리 눈에 보이는 우 ... 못하는 무언가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11
일자
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aax516 ...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경험자들 코로나19 증상 약하게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사실을 알아냈다고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 9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를 뜻한다. 코로나19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처럼 생명에 치명적인 코로나바이러스도 있지만, ... ...
쟤는 증상없는데 왜 나만 중증?…코로나 환자별 증상 다른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대응할 수 있는 항체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6
일자
(현지시간)에 발표됐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T세포에 의해 발현하는 RNA 분자를 분석하기 위해 단일 세포 RNA-시퀀싱 기술을 활용했다. RNA는 DNA가 지닌 유전정보를 복제해 ... ...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 판정 HIV 환자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남성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례가 발견됐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대한의학회지(JKMS) 5
일자
에 발표했다. 당뇨병과 폐질환, 만성신장질환 등의 질병을 가진 사람이 코로나19에 걸릴 경우 그 예후는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V 환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 ...
초정밀 측정센서 개발한 김정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은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올해 2월 10
일자
에 게재됐다. 김 교수가 개발한 센서 기술은 첨단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위한 초정밀 3차원 형성과 고속의 기계적 움직임을 측정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원자력발전소 중요시설 모니터링, ... ...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20.10.0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누구나 한 번쯤 ‘시간 왜곡’을 경험한다. 가령 어떤 날은 1시간이 10분처럼 쏜살같이 지나가는 반면, 어떤 날은 시계가 고장난 ... 제공했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과학저널’ 9월 14
일자
에 실렸다. doi: 10.1523/JNEUROSCI.0078-20.2020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이 내용을 1965년 ‘중력 붕괴와 시공간 특이점’이라는 논문을 피지컬 리뷰 레터스 1월 18
일자
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아인슈타인 이후 일반상대성이론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 만물을 움켜쥔 중력 일반상대성 이론이 블랙홀의 존재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긴 어렵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의 증가 폭이 큼을 알 수 있다. 지구변화생물학 제공 학술지 ‘지구변화생물학’ 10월 1
일자
에는 2005~2050년 동안 유입될 외래종의 수가 같은 기간(45년)인 지난 1960~2005년 동안 유입된 외래종 수보다 36%나 더 많을 것이라는 예측을 담은 논문이 실렸다. 독일 젠켄부르크 생명다양성 및 기후연구센터가 ... ...
“해바라기꽃으로 Go!” 꿀벌도 길들여진다
과학동아
l
2020.10.06
작물의 생산량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9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doi: 10.1016/j.cub.2020.08.018 연구팀은 해바라기꽃 냄새를 내는 합성 혼합물을 만들어 꿀벌에게 먹이와 함께 제공한 뒤 꿀벌의 춤 패턴을 분석했다. 꿀벌은 일명 ‘와글 댄스(waggle dance)’라고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