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뉴스
"
유명
"(으)로 총 2,4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클라이트만 교수(1895~1999)는 본인이 직접 피험자로 나서 수많은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도
유명
하다. 1960년 그가 제안한 기본휴식활동주기 개념은 피로사회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실렸다는 걸 알게 돼 찾아 읽어봤다. 2002년 민속식물학자 폴 콕스는 신경학자이자
유명
작가인 올리버 색스와 함께 소철 씨를 먹어 몸에 독성 아미노산 BMAA가 축적된 과일박쥐를 즐겨 먹은 사람들이 리티코-보딕에 걸렸다는 박쥐 가설을 제안했다. 그 뒤 소철 뿌리에 공생하는 시아노박테리아(위)가 ... ...
여름철 풍족한 물 지하수로 만들어 보관… 싱크홀-가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지역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주 지역이 인공함양 기술로
유명
한 곳으로 꼽힌다. 제주도의 토양은 딱딱한 화산암으로 비가 내려도 금방 바다로 흘러가 지하수가 생성되기 어렵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10년부터 제주도의 한천(漢川) 인근 지역에 인공함양을 위한 ... ...
“신장 결석 없애려면 롤러코스터 타라?” 황당 연구 10팀 ‘올해의 이그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진지함이나 엄숙함을 배제한 채 장난스럽고 떠들썩한 축제로 시상식을 거행하는 것으로
유명
하다. 의학상을 받은 미국의 두 의사는 놀이공원에서 롤러코스터를 탔다가 결석을 제거했다는 환자의 경험담을 듣고 이를 검증할 결심을 했다. 그들은 직접 3D 프린터로 신장 모형을 만든 뒤 결석을 ... ...
[뉴스룸] 메르스 정복, 갑자기 투자한다고 될 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시작했다. 국내에 총 186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했고, 사망률이 20.4%에 달했다. 안타깝게
유명
을 달리한 국민이 38명이나 됐다. 이후 정부는 부랴부랴 ‘메르스를 정복하겠다’고 나서는 모습을 보였다.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윤상직 의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메르스가 발생하기 ... ...
가짜 학회 국내 참석자 수 1317명…"고의성 짙을 땐 엄중조치"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OMICS)에 2014~2018년 참가한 연구자를 전수조사했다. 이들은 비싼 참가비를 받고 해외
유명
관광지에 학술대회를 빙자한 부실 학회를 열거나, 동료평가(peer review) 없이 논문을 실어주는 등 유사 학술행위를 하는 단체다. '학회'라는 문패를 다는 데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가짜까지는 아니고 (학회 ... ...
‘미국의 노벨상’ 래스커상 프로포폴·후성유전학 연구 과학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수상자 가운데 87명이 노벨상을 수상해, 향후 노벨상의 향방을 짐작할 수 있는 상으로도
유명
하다. 래스커상은 크게 세 분야 상으로 구성돼 있다. 기초의학상인 ‘앨버트 래스커 기초의학연구상’에는 데이비드 앨리스 미국 록펠러대 교수와 마이클 그룬스타인 UCLA 교수가 선정됐다. 이들은 길고 ... ...
“능욕의 땅 아프리카는 인류 문명의 요람”
동아일보
l
2018.09.12
필요한 이유는 우리가 한민족이기 때문이란 것이 제 입장입니다.” 남파간첩 ‘깐수’로
유명
한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84)이 11일 2년 만의 신간 ‘문명의 요람 아프리카를 가다 1·2’(창비) 출간 간담회에서 통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스스로 “민족주의자”를 자처한 정 소장은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앵무새가 제한적이나마 사람과 의미 있는 말을 주고받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가장
유명
한 예가 아프리카회색앵무새 알렉스(ALEX)로 어휘력과 대화능력이 놀라운 수준이었다. 즉 단순히 사람의 말을 흉내내는 게 아니라 색과 모양, 숫자 개념까지 터득해 사람과 의미 있는 말을 주고받았다. ... ...
대형 지진 뒤 여진, AI가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리서치사이언티스트팀은 13만 1000건의 기존 지진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를 ‘알파고’로
유명
해진 AI 기술인 심층신경망에 넣어 학습시켰다. 그 뒤 인공지진 3만 건을 일으키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이 AI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여진이 일어나는 장소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