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트
미술
학예
아르스
향토교육
교육
향토
뉴스
"
예술
"(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나무 없인 못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30
사람들이 걸음을 멈추고 휴대전화 카메라를 꺼내들었지요. 이 전시는 프랑스의
예술
가 파울로 그랑종과 세계자연기금(WWF) 프랑스 지사가 협력해 2008년에 처음 시작한 행사예요. 그 당시 지구상에는 판다가 고작 1600여 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았어요. 중국에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판다 서식지인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교단에서 쫓겨나고 노벨상도 병에서 회복한 뒤에야 수여된 이유다. 그러고 보면 위대한
예술
가보다 위대한 과학자들이 더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암 유발하는 ‘염색체 파열’은 어떻게 일어나나
2015.06.14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타일 위에 염색체들이 화려하게 수놓아져 있다. 이는
예술
가인 다니엘 콘의 ‘과학에 대한 생각(Thinking about Science)’ 시리즈 작품 중 하나로 염색체의 파열을 시각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염색체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 ...
천재와 정신병은 종이 한 장 차이?
2015.06.12
정신의학연구소 박사팀은 조현병과 조울증 발병 위험을 2~3배 높이는 유전자 변이가
예술
가 집단에서 정상인보다 17% 더 많이 발견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8일자에 실었다.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아주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작가들을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타이타닉호에서 생존률 가장 높은 위치는?”
2015.06.08
사이언티스트(Gonzo Scientist)’의 필자다. 그는 과학적인 관점에서 문화와
예술
을 분석한 에피소드를 지금까지 14편 게재했다. 과거 그는 가짜 논문에 대한 보도자료를 언론에 뿌리고 그것이 기사화되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연출해 언론이 항상 진실만 보도하는 것은 아니라는 날카로운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모습. - 미육군 제공 ○ “가상현실에서 새가 될 수 있다” [INTERVIEW] 스위스 취리히
예술
대 맥스 라이너 교수 실재감을 높인 몰입형 가상현실은 우리에게 어떤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까. 맥스 라이너 교수는 지난 1월 세계 최고의 독립영화 페스티벌 ‘선댄스 영화제’에서 새처럼 도시 상공을 ... ...
“아이 빌리브 아 캔 플라이(I believe I can fly)”
과학동아
l
2015.05.29
기울이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버들리를 개발한 막스 라이너 스위스 취리히
예술
대 교수는 지난달 말 ‘CT 포럼’ 참석 당시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가장 익숙한 공간인 도시를 배경으로 지상 10m에서 날고 있다는 느낌을 받도록 영상을 구성했다”고 말했다. ‘프로젝트 시리아’는 시리아 ... ...
[청년드림]윤성규 장관의 환경분야 취업 조언
동아일보
l
2015.05.20
진행된 윤 장관과의 도시락토크에는 노승철(27·광운대 법학과 졸업) 박보람(27·여·한국
예술
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 4년) 박소정(22·성균관대 경제학과 3년) 심상현(24·여·인하대 환경공학과 4년) 양석원(27·경희대 문화관광콘텐츠학과 4년) 정대헌(21·동아대 행정학과 2년) 홍주영 씨(24·여·미국 ... ...
미나리와 보톡스, 페니실린의 공통점은?
2015.05.03
자원을 얻을 수 있는 보고로 여기게 됐다. 달의 생성과 운행 원리부터 과학은 물론
예술
에 달이 끼친 영향을 새책에서 만나볼 수 있다. MID 제공 ■ 독한 것들(박성웅 외 3인 著, MID 刊) 여기는 나무, 저기는 덩굴식물. 코스타리카 정글은 그야말로 ‘초록’으로 뒤덮였다. 온통 초록인 이곳에서 ... ...
‘7080’ 대표곡 ‘연’ 발표 35년 만에 1집 앨범으로 컴백, 조진원 연세대 교수
2015.04.30
과학자이며 최악의
예술
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
가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과학과
예술
은 모두 창의력이 뒷받침돼야 할 수 있는 것이죠. 저의 작은 일탈이 학생들에게 갇힌 사고와 고정관념을 허무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그렇게 되면 보다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도와줄 수 있지 않을까요.”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