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뉴스
"
볼
"(으)로 총 6,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시민과학 페스티벌 열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21
사진을 전시했다. 2012년부터 수원청개구리 연구에 참여했던 중국 난징입업대 아마엘
볼
체 교수는 이날 행사에 방문해 “연구자들이 모든 서식지를 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시민과학이 필요하다”며 “10주년을 맞이한 지구사랑탐사대가 정말 멋지고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자연을 ... ...
동아사이언스·브라이언임팩트 시민과학 활성화 위한 협약식 체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17
동아사이언스는 재단법인 브라이언임팩트(이하 브라이언임팩트)와 11월 17일 시민과학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사옥에 ... 지역과학관에 가족이 모여서 시민과학 활동을 하며 진지하게 대화하는 모습을 더 많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협약식을 마무리했다 ... ...
이다솔 동아사이언스 기자, 2022 AAAS 카블리 과학저널리즘 어워드 수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11
방치되는 것과 같은 주제는 어른이 보기에도 매우 민감한 주제인데, 이를 어린이가
볼
수 있도록 나이에 맞게 잘 다뤄낸 기사를 보고 완전히 놀랐다"고 말했다. 심사위원 로리 갤러웨이는 "어려운 윤리적 문제를 피하지 않으면서 과학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기사를 시각적으로 잘 풀어낸 점을 높이 ... ...
외국어 독해 가르치는 'AI 선생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외부에서 비대면으로 영어 원어민 가정방문 교사와 함께 공부하는 것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며 "향후 쓰기까지 돕는 AI 선생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등은 위험하므로 아예 금지하기로 했다. 무작위로 실험을 시행하면 영화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끔찍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에서 안전을 우선시하여 학자들이 스스로 연구범위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1975년 아실로마 컨퍼펀스는 지금까지도 연구윤리의 기준을 보여 준 훌륭한 사례로 ... ...
가려진 붉은 달 옆으로 고개 내민 천왕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은 7시 59분에 관측됐다. 이때 달의 고도는 약 29도로 동쪽에 시야가 트인 곳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었다. 월식 현상은 오후 9시 49분께 끝났다. 천왕성 엄폐는 오후 8시 23분부터 9시 26분까지 약 1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11월 8일 관측된 개기월식. 달의 왼쪽 위에 보이는 천체가 천왕성이다. 천문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대청호도 녹조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사실 녹조는 물이 고여 있는 연못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자연현상이다. 녹조는 남조류(藍藻類)라고 부르는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지나치게 증식하면서 생기는 부영양화(富營養化·eutrophication) 현상이다. 물이 한 곳에 고여 있게 된다고 해서 반드시 ... ...
8일 저녁 개기월식·천왕성 엄폐 동시에...놓치면 200년 뒤에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76년 후 2098년 10월 10일에 또 한번 월식과 천왕성 엄폐가 발생하지만 역시 국내에서는
볼
수 없다. 8일 이후 개기월식은 3년이 지난 2025년 9월 8일, 천왕성 엄폐는 2068년 2월 27일에 관측이 가능할 예정이다. 향후 200년간 국내에서 두 천문현상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기회는 없다. 이번 개기월식은 ... ...
뇌 기능 실시간 촬영...30년 된 일본 기술 대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차기 회장은 “뇌에 자극이 전달됐을 때 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 획기적”이라며 “질병이 발생하면 뇌의 어떤 부위가 망가지게 되는지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형준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학술이사는 “뇌의 신경작용을 직접 ... ...
대장내시경의 '배신'...암 조기선별 위한 검사, 효과 '글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이재호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대장암 발생 위험성은 동네 병의원에서 만나
볼
수 있는 내과나 가정의학과 전문의도 조기에 판단할 수 있다”며 “의료자원을 소모하는 불필요한 대장내시경 검사 시행률을 낮추기 위해선 의사의 권유가 있을 때 검사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