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04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밝힌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생물 단백질원이 건강에 추가 이점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
한 것이다. 김 교수는 "처음에는 코리네박테리움을 닭 사료로 쓰는 연구를 했는데 닭들의 살이 잘 붙지 않아서 걱정했다"며 "나중에 내장 등을 검사해 보니 유산균이 늘어나는 등 닭이 건강해진 것을 ... ...
선풍적 인기 비만치료제, 체중감소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때 DMH에 몰려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쥐의 뇌 조직에서도 같은 부위에 GLP-1 수용체가
발견
됐다. 연구팀은 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가 DMH의 GLP-1 수용체에 작용해 음식을 보기만 해도 배부름을 느끼게 한다는 것도 밝혔다. 쥐는 신경관찰기법을 통해 직접 신경세포의 활성을 관측할 수 있다. ... ...
"최후의 매머드 멸종, 근친번식 탓 아냐"...기존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어렵다. 연구진은 "랑겔 섬에 살았던 매머드의 유전체에는 근친교배의 흔적이
발견
됐고 유전적 다양성도 낮았다"며 "그렇다고 이같은 특성이 멸종의 결정적인 증거에 해당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이끈 러브 달렌 고생물 유전학 센터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매머드의 개체 ... ...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서울대 의과대학 분자유전공학실험실 교수는 "RNA 의존적인 재조합효소가 처음으로
발견
됐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이라며 "수정할 염기서열을 조절하기 용이해 통합적이고 설계하기도 쉬운 유전자 교정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활용처 무궁무진… 대규모 유전자 교정 가능 ... ...
[동물do감] 뜀뛰기 하는 거머리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마다가스카르에서 거머리가 뛰어오르는 영상이 최초로 촬영됐다. bio TROPICA 제공 마다가스카르에서 거머리가 뜀뛰며 날아오르는 모습이 포착됐다. 거머리가 뛸 수 있는지에 대한 과학자들의 논쟁을 재점화시킬 수 있는 첫 시각적 증거다. 마이 파미, 마이클 테슬러 미국 자연사 박물관 무척추동물 ... ...
"네안데르탈인, 다운증후군 6세 어린이 돌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살아남았다는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라크 샤니다르 동굴에서
발견
된 성인 남성 네안데르탈인 화석은 부상으로 다리가 손상됐으며 한쪽 눈은 잘 보이지 않은 상태였다. 그가 부상을 입은 뒤에 10~15년 더 살았다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에서는 이를 네안데르탈이 약한 동료를 ... ...
UNIST, 나노 단위 제어 가능한 금속-유기 골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연구를 통해 분자 수준에서 제어 가능한 다공성 고체 기계 설계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
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다양한 분자 기계 부품의 탐색 및 기계 링크 구조의 작동 원리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와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 새로운 길을 열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발견
됐다는 학계 보고는 없었다. 나비들의 날개가 너덜너덜하고 구멍이 뚫린 점을
발견
하고 탈라베라 박사는 이들이 아프리카에서부터 장거리 이동을 했다고 가정하고 연구를 시작했다. 우선 연구팀은 나비에 달라붙은 꽃가루의 DNA를 분석한 결과 꽃가루가 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피는 식물의 ... ...
[과기원NOW] KAIST, 챗MOF로 96.9% 금속 유기 골격체 물성 예측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연구를 통해 이중층 그래핀 기반의 초전도 소자의 양자 특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
하고 연구결과를 지난달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초전도체는 극저온이나 고압 등 특정 환경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물질이다. 두 초전도체 사이에 매우 얇은 일반 ... ...
생존율 낮은 전이암 촉진하는 단백질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일어날 때 혈액 및 전이 장소의 자연살해세포 기능이 소실되고 HPK1이 과발현 되는 것을
발견
했다. 이를 역으로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원발성 악성종양(원발암)이 가장 흔하게 전이되는 장기인 폐전이 상황을 가정했다. 자연살해세포가 HPK1을 과발현하도록 실험쥐의 형질을 전환했다. 그 후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