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카락
두상
두부
머릿골
얼굴
뇌
뉴스
"
머리
"(으)로 총 2,36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나이 8살, 비로소 산타 진실을 알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먹는 걸 발견하고 충격받았다고 답했다. 11살 때 술에 취한 아버지가 잠을 자던 자신의
머리
위에 실수로 선물을 떨어뜨린 경우도 있었다. 한 응답자는 산타의 편지를 아버지와 필적과 대조해 거짓임을 알게 됐다는 사례도 소개됐다. 부모님이 실수로 자신의 이름을 적은 선물을 받으면서 진실을 ... ...
바닷물 산성화로 연어 고향으로 못돌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후각기관과 뇌가 있는
머리
이다. -앤디 디트먼 제공 온실가스가 연어의 회귀에 필요한 후각 기능을 떨어뜨려 멸종으로 몰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체이스 윌리엄스 미국 워싱턴대 환경학과 교수 연구진은 이산화탄소가 바닷물의 산성화를 유발하면서 연어 후각 기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 ...
도널드 트럼프 이름 딴 양서류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는 약 2800만원을 주고 경매에서 학명 결정권을 따냈다. 이 회사의 에이단 벨 사장은 “
머리
를 땅에 박고 있는 모습이 마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구 온난화 문제에 반하는 정책을 펴는 것과 비슷해 보여 이름을 이렇게 정했다”고 밝혔다. 이 양서류를 최초 발견한 과학자도 이번 경매에서 ... ...
익룡의 원시 털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가운데에 있고, 그 중간 지점에 짧은 가지 같은 구조의 섬유가 갈라져 나와 있는 형태다.
머리
에 일부가 발견됐다. 4번 유형은 날개 피막에서 발견된 섬유로, 섬유 뿌리 부분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게 특징이었다. 길이는 2.5~8mm이고 굵기 0.07~0.13mm로 짧고 가는 편이었다. 화석에서 ... ...
치명적인 키스
팝뉴스
l
2018.12.15
보면 맹수에 가깝다. 악어는 남자의 입술을 강하게 물었다. 남자는 소스라치듯 놀라며
머리
를 뒤로 뺀다. 다행히 큰 부상은 없었다. 입술이 퉁퉁 부었을 뿐이다. 큰 행운이었다는 평가가 네티즌 사이에서 지배적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가솔린+디젤 장점 합친 ‘듀얼 엔진’ 미래車 ‘심장’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4
연구원이 “얼마 전까지 실험을 하던 터라 전선이 연결돼 보기에 좀 복잡하다”며
머리
를 긁적였다. 그가 가리킨 실험용 엔진은 두 가지 연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엔진. 승용차용 엔진은 사용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디젤 엔진과 가솔린 엔진으로 구분되는데 민 교수와 주 연구원이 개발 중인 이 ... ...
[이강운의 곤충記]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유칼립투스 먹는 호주 곤충
2018.12.12
아주 짧은 시간 집중 관찰하면서 유칼립투스를 먹는 곤충 몇 종을 관찰했다. 검은
머리
개미black-headed sugar ant (Camponotus nigriceps) 장수황소개미Giant bull ant(Myrmecia sp.) (좌)황소개미 bull ant (Myrmecia sp-horz) 와 (우) 썩은나무둥지개미(Rhytidoponera sp.) 노랑꼬리개미Golden-tailed Spiny Ant(Polyrhachis ammon) 불개미아과 ... ...
노년의 퍼즐 풀기, 뇌 기능 퇴화 못 막는다
2018.12.12
or lose it)이 적용된다고 많은 사람이 생각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노년기에 아무리
머리
를 쓰는 활동을 하더라도 뇌 기능 퇴화를 억제하는 데 별 도움이 안 된다는 연구결과가 의약학 학술전문지인 BMJ에 게재됐다고 BBC방송이 11일 보도했다. 스도쿠 게임 [연합뉴스 자료사진] 애버딘왕립병원 ... ...
'지열발전일까 자연지진인가' 포항지진 원인 놓고 세계 학계
머리
맞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12일 '2018 미국지구물리학회 가을 학술대회'에서 '포항지진'에 대한 특별 세션이 열린다. -미국지구물리학회 제공 지난해 11월에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의 원인을 논의하는 학술 행사가 미국에서 열린다. 당시 진원 가까이 있었던 지열발전소의 물 주입이 포항지진을 유발한 원인으로 지목됐지 ... ...
다양한 분야 연구자 한자리에… “
머리
맞대니 ‘답’이 보이네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융합클러스터 활동 활발 융합클러스터에 참여하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도시재생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 조사 내용을 서로 논의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이전까지 기초과학 쪽에는 연구비 외에 연구자들이 교류하는 데 쓸 수 있는 ‘소프트머니’(활동비)가 사실상 전혀 없었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