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힘"(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코딩 수학까지!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온라인에서 댓글로 아이디어와 풀이를 올려 힘을 합쳐 수학 문제를 푸는 수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입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다면 폴리매스 홈페이지 polymath.co.kr 에 접속해 보세요! 세상의 비밀을 밝히는 열쇠 ‘소수’이번에 코딩으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학생들이 힘을 모아 세운 기록이지요. 이날 메이커 스쿨에 참여한 기자단 친구들도 힘을 모아 스틱 폭탄을 만들었어요. 처음에는 나무 막대를 교차하는 방법이 조금 헷갈렸지만, 집중해서 약 300개의 나무 스틱을 엮어 스틱 폭탄을 완성했지요. 그리고 막대가 튀어오르지 않도록 누르고 있던 손을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어야 한다. 암흑물질은 빛을 내지 않아 관측할 수는 없지만, 인력(끌어당기는 힘)을 갖고 있어 그로부터 존재를 추정한다. 차가운 암흑물질은 물질의 운동속도가 빛의 속도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느린 암흑물질이며 압력이 없다. 1960년대에는 그의 이론과 반대되는 이론도 존재했다. 옛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검증했습니다.극성 장은 수학과 물리학 개념인 벡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벡터는 힘과 속도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이고, 극성 장은 식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특정 부분에 쏠려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극성 장을 벡터처럼 크기와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코엔 교수는 극성 장의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수 있어요. 신얀 덩 교수는 “그동안 가벼운 로봇은 공기가 물체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인 양력을 충분히 받지 못해 비행이 불안정했는데,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벌새의 비행법을 이용해 안정적이다”며, “벌새 로봇은 물체와 접촉하면서 공간을 파악하기 때문에 재난 현장과 같이 지도가 없고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합니다. 여하튼 로보트 재권V에게 힘/토크 센서를 부착해서 힘을 느끼게 해주고, 그 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열심히 계산해서 위험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면 안전한 로봇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람들이 로보트 재권V가 위험한 기계가 아니라고 인정할 수 있을 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놀랍게도 한 손으로도 셀 수 있답니다. 강력, 전자기력, 약력, 만유인력 네 가지의 힘만 존재하거든요. 이중에서도 ‘전자기력(電磁氣力)’은 주변 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현상의 원인이랍니다. 전자기력은 전하를 띤 입자들끼리의 상호작용을 말해요. 덴마크의 물리학자인 ‘한스 크리스티안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다음 호에서는 로보트 재권V가 우리와 함께 생활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능인 촉각 및 힘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jkhan@hanyang.ac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하는데다가, 무엇보다도 반란의 낌새를 눈치채자마자 전원 스위치를 내리면 인공지능은 힘을 못 쓸 테니까요. 고호관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SF 명예의 전당’ ‘낙원의 샘’ ...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알려지면 소중한 생물자원이 되는 거잖아요? 그러면 자연스럽 게 생물을 보호하는 데 힘 쓰게 되겠죠. 전통지식을 모으는 건 지금 당장 과학적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쓸모를 찾기 위해서만은 아니에요. 미래에 생물 자원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투자이기도 하답니다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