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d라이브러리
"
흥미
"(으)로 총 1,9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근처에서 태어난 패러데이는 12세 때부터 인쇄업자 밑에서 일하며 과학책을 읽다 과학에
흥미
를 갖게 되었다. 19세 때 과학자 데이비의 강연을 듣고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해 1813년 왕립연구소의 실험조수가 되었다. 이후 전자기 유도 현상을 발견하는 등 전기화학의 기초를 쌓았다. 그가 쓴‘양초의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즉 호모 에렉투스는 약 190만년 전 등장했다.그런데 두개골을 시기별로 나열해보면
흥미
롭게도 두 번에 걸쳐서 뇌용량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가 호모 에렉투스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두 배가 넘는 900cc에 가깝다. 다음이 고 호모 사피엔스로 현생 인류보다 조금 작은 1150cc 정도다. 무엇이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추장은 손톱과 발톱은 묘지에 숨기고, 파타고니아의 원주민은 태워 버린답니다. 가장
흥미
있는 것은 아프리카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섬의 베스틸레로 족의 관습으로 그들은 라만고라는 직책을 두어 왕족의 손톱과 발톱을 먹어 없애게 한대요. 또 손톱과 발톱은 영혼이 부활할 때 사용된다고 해서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20세기 초 리빗이 이 별이 최초로 발견된 세페이드형 변광성이라는 사실을 확인해줬다.
흥미
로운 사실은 리빗 역시 청각장애인이었다는 점이다. 태어나면서부터 들을 수 없었던 그는 하버드대의 천문대에서 일을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여성 천문학자는 매우 드물었고 대우도 시원찮았다. 망원경을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2위는 일본으로 3편. 영국, 캐나다 등 5개국이 1편씩을 냈다. 저널별로 나눠보면
흥미
로운 결과가 나온다. ‘네이처’가 10편, ‘네이처’ 자매지가 5편을 실은 반면 ‘사이언스’는 3편뿐이다. ‘셀’은 5편, ‘PNAS’ 등 5개 저널에 1편씩이다. ‘네이처’가 줄기세포에 적극적인 반면 ‘사이언스’는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공부하게 된 계기는 ‘귀’가 얇은 탓이다. 유학시절 분광학 관련 연구논문을 읽다
흥미
가 솟아났고, 한창 열기가 뜨겁던 단백질 연구에 이를 활용하면 새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란 자신감이 생겼다. 지금은 그 얇은 귀 덕분에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르네상스적 연구를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봐 불안해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배트맨 씨, 마음을 좀 열어 보세요!스파이더맨은 참
흥미
롭군요. 그야말로 한 편의 성장드라마라고 할 수 있습니다.하나하나 살펴볼까요? 누구에게도 말 못 할 고민스파이더맨은 유전자조작 거미에 물려 특수한 능력을 얻게 되기 전까지는 인기도 없고, 집도 ... ...
게놈 속에 게놈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과거에 불바키아 게놈이 초파리 게놈으로 끼어들어가 자리잡은 것으로 추측했다.
흥미
롭게도 이 부분에 있는 박테리아 유전자 1206개 가운데 적어도 28개가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토프 박사는“이런 유전자 발현이 생물학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는 아직 모르겠다”면서도 “불바키아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들은 크기도 제각각이고 맛도 차이가 많다. 이들 사과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흥미
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큼직하고 달콤한 종, 즉 재배사과의 조상종과 체리만한 사과가 열리는 야생종의 유전자가 매우 비슷했던 것. 이들의 관계를 연구하자 이 일대에 살고 있는 불곰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이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침 같은 증상은 없다. 즉 인체는 감염이 되고 항체도 만들지만 아픈 증상이 없다.
흥미
롭게도 콧속에 생백신을 스프레이로 뿌리면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신호물질인 사이토카인이 48시간 안에 분비된다. 이는 선천적인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다양한 바이러스를 공통으로 방어한다. 아직 효과적인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