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꿈틀꿈틀, 입에서 폐까지 이동 가능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지렁이 로봇을 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려면 로봇에 수술 도구를 연결하는 연구가 추가로
필요
하다”고 말했답니다.●자성 : 철 같은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석의 성질 ... ...
[헷갈린 과학] 이거 없으면 병원 못 간다! 진통제 VS 마취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못할 수 있고, 적게 사용하면 수술 치료 도중 깨어날 수도 있지요. 그래서 수술에
필요
한 전신 마취의 경우 마취를 전문으로 하는 마취의가 마취를 담당한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마녀, 저주를 후회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러니 혹시 주변에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이 있다면 의사의 진단을 먼저 받아본 뒤
필요
한 경우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상어는 진짜 잠을 안 잘까? 수수께끼 풀렸다! 바다의 포식자 상어는 숨을 쉬려면 끊임없이 움직여야 한다고 알려졌어요. 그래서 백상아리를 비롯한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냥 빨리 작업 시작해!”루띠가 폭탄을 만드는 동안 용용이 폭탄을 설치할 좌표★와
필요
한 폭탄의 양을 계산했습니다. 계산을 마친 용용은 탈진해 쓰러졌습니다. 좌표★ 평면이나 공간 안에 있는 특정한 점의 위치를 수로 나타내는 걸 말해요. 혜성에 폭탄을 설치하는 일은 딱지가 맡았습니다. ... ...
[에디터 노트] 전지적 독자 시점으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과학동아 독자입니다. 더 나은 과학동아를 위해서는 여러분의 전지적 독자 시점이
필요
합니다. 부탁드립니다. 8월호에 모집하는 전지적 독자 위원회(전독위)에 들어와 활약해주세요(14쪽). 전독위는 매월 과학동아 표지 선정에 관여하고, 기사를 평가합니다. 전독위 참여자에게는 과학동아의 모든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즉 χG(q) = χG1(q) - χG2(q) 입니다. 왜냐면 G1의 채색 다항식은 v1과 v2가 서로 다른 색일
필요
없이 색칠하는 방법의 수이고, G2의 채색 다항식은 v1과 v2가 같은 색으로 칠해지는 방법의 수이기 때문이지요. 허 교수의 첫 조합론 연구, 리드-호가의 추측 구체적인 그래프에 대해 채색 다항식을 많이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번 문제도 위튼 교수의 아이디어처럼 문제의 조건을 잘 ‘탐지’하면서 우리에게
필요
한 정보를 주는 새로운 대상을 도입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힌트를 참고해 어떤 대상을 어떻게 도입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지길 바라요. 여러분도 해답으로 이르는 길이 자명해지는 ... ...
[생태관광] 지역주민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자금 조달을 위해 지역사회의 노력과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필요
하다”고 짚었습니다. 성연주 환경부 자연환경정책과 주무관은 “생태관광지역 주민과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생태관광 디렉터 및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지역주민 ... ...
[화보] 달리고 뿌리면 자란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씨앗을 뿌리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더덕은 노지재배가 가능하면서도 땅을 파고 심을
필요
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황 대표는 “마을 주민들이 오가는 고사리 밭 인근에 씨앗을 뿌려 접근성을 높였다”며 “새로운 농가 소득원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이날 행사에는 지역경제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전 세계에 없다고 설명했다. AI와 반도체를 융합하려면 대학원 공부나 산업계 경험 등이
필요
하다. 또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는 것과 졸업 후 바로 설계 인력이 되는 것은 다르다. 김병성 교수는 “반도체학과를 졸업하면 전문가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표현이 가장 정확하다”고 말했다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