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거
지난날
옛적
예전
태고
고대
왕년
d라이브러리
"
옛날
"(으)로 총 1,321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만류에도 불구하고 청계천 7,8가의 헌책방과 전문가를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남대문 근처
옛날
서울시경찰국 일대 골목은 당시 서울 장안 염료상들의 집결지였다. 이곳 상점 주인들은 화학방정식은 몰라도 염료가 타는 냄새만으로 무엇과 무엇이 몇대몇 비율로 섞였다는 것을 정확히 맞춰낼만큼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가리키는 연장으로 이용해 왔다. 이렇듯 전기와 자기는 각기 다른 성질을 지닌 것으로
옛날
부터 알려져 왔으나 그들의 본질을 밝힌 전자기이론이 확립됨으로써 비로소 빛과 통신에 쓰이는 전파 X선 방사선이 모두 전자기파의 한 갈래라는 사실이 정리됐다. 나아가서 이 이론은 상대성이론의 기초를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도르래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무게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캠과 크랭크는
옛날
부터 있었던 기계로 캠은 철을 두들기는데 사용하는 일종의 해머이며 크랭크는 말아올라가는 기계의 핸들에 사용됐다. 캠과 크랭크를 응용한 기계는 1800년대 초에 발달했는데 최초로 성공을 거두었던 것은 1851년 ... ...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실내에까지 숨어 들어와서 귀중한 물건들을 망가뜨린다니, 환경오염을 잘 모르는 순진한
옛날
귀신들이 이 얘기를 들으면 오히려 '귀신이 곡할 노릇'이라고 혀를 내두르지나 않을까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4각의 대종루가 있는데 승강기로 위까지 올라갈 수 있다. 해양박물관(Museo Storico Navale)은
옛날
에 베네치아가 '아드리아해의 여왕'이었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박물관이다.카사노바와 에스프레소또한 이곳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으로는 산마르코광장에 면한 유명한 카페인 카페 플로리안(Caffè Florian)을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테두리에서 과학적인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물론 이러한 현상들은 오랜
옛날
부터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돼왔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Plato)은 '예견'(divin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이러한 현상을 설명했는데, 그에 의하면 예견은 인간의 어리석음을 충분히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그러나 나이를 먹게 되면서 어느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을 단지 아득한
옛날
의 향수 정도로만 느끼게 된다.별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우주의 신비를 캐는 것은 단지 사춘기 소년 소녀들만의 낭만은 아닐 것이다. 오늘 밤 학생들은 부모님의 손을 잡고, 부모님은 아이들을 이끌고, 젊은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인공위성이 날고 있는 현대에도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인간은
옛날
부터 바닷속을 보고 싶은 호기심이 강했다. B.C.332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대왕은 유리통속에 들어가 깊은 물속에서 사흘간 지냈다고 한다. 그로부터 2천여년이나 지난 후에야 본격적인 잠수선이 등장했다.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동측의 '에덴동산설'이 서측을 압도한다.에덴동산설의 주장은 이렇다. 아주 먼
옛날
의 원인(猿人)이나 원인(原人)과 마찬가지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도 아프리카 사바나지역(에덴동산)에서 태어나 전세계로 퍼져 나갔다는 것. 이 과정에서 유럽에서는 먼저 살고 있었던 네안데르탈인을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방법이 모색된 적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온도의 변화, 즉 열에 의해 소리가 발생된다는
옛날
의 연구를 다시 조사하면서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의 존 휘틀리 박사와 스위프트 박사는 그 역, 즉 소리가 온도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호플러는 박사학위논문을 준비하면서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