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상"(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차이가 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매년 그 해 겨울에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주를 선정한다. 이에 따라 제약회사들은 해당 독감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한다.생존전략 1 변이 잦은 RNA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꾸준히 사람들을 괴롭힐 수 있는 첫 번째 비결은 RNA에 ... ...
- [Issue] 과학자들이 남성 출산율을 계산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여성의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을 구했다. 합계출산율은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로, 연령별 출산율의 총합이다.통계기법 활용해 父 연령 추정나라를 불문하고, 출생에 관한 공식 통계에 어머니의 연령 정보는 거의 100%가 있다. 반면 아버지의 연령 ... ...
- [Issue] 사랑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예를 들어 지난 10년간 매출이 지속적으로 올랐지만 내년에는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회사가 있습니다. “내년의 매출은 어떻게 될까요?”라는 질문에 “내년에 매출이 증가할 것입니다”라는 대답을 했다면 이건 명백한 허위 진술입니다. 하지만 이런 대답은 어떨까요. “지난 10년간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 또 인플루엔자는 워낙 변이가 많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인플루엔자가 새롭게 유행할 위험성은 늘 있다.실제로 지난 4~5년간 WHO는 특히 H3N2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예측하는 데 애를 먹었다.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H1N1에 비해 변이가 잦고 치사율이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유지하고 싶어 한다. 40년이 넘게 별 문제 없이(?) 유지한 제도를 폐지하면 오히려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더 큰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사실 윤초 폐지 논쟁에는, 각국의 보이지 않는 첨예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 영국은 윤초를 없애면 시간 체계에 대한 기득권이 미국으로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곳은 자체중력이 약해서 팽창률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그런데 이 같은 원리로 초신성이 예상보다 어둡게 보이는 현상(가속 팽창의 증거)을 설명하려면 반지름이 약 10억 광년이고 밀도가 평균보다 40%가량 낮은 빈 공간 중앙에 지구가 위치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설정은 코페르니쿠스의 원리에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달라졌다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탐사대원들은 이것이 1400~1500m 깊이에서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하루하루를 애타게 기다려 왔다. 9월 30일에는 시추를 종료해야 10월 1일에는 물리검층을 끝내고 탐사 마지막 날인 10월 8일까지 싱가포르에 도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그 지층이 빨리 나오도록 ... ...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부탁에 과연 몇 명이나 응했을까.연구팀은 10명에 한 명꼴로 부탁을 들어줄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실험 결과 3명 중 한 명 꼴로 응했다. 학생들은 ‘이런 행동은 옳지 않다’거나 ‘나중에 잘못될까봐 두렵다’고 느끼면서도, 단지 부탁을 받았다는 이유로 책에 낙서를 했다(doi: 10.1177/0146167213511825).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더욱 높아질 거라고 봤다. 미래 대기는 기후변화로 지금보다 온도가 높고 습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CNRS의 올리비에 부셰 박사는 “비행기구름이 안 생기게 하거나 이미 생긴 비행기구름을 지우는 방법을 찾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연료를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새로운 입자가 아니라, 볼프강 파울리가 1931년에 예측한 중성미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중성미자는 17가지 기본입자 중의 하나로, 페르미온이면서 전기적으로는 중성이다. 전기적인 성격이 없어 입자와 반입자가 같다는 성질을 만족할 수 있고, 당시에는 질량이 없다고 여겼기 때문에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