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가장 대표적인 천문관측기구인 혼천의의 작동법과 위치측정법을 이해한 것도 큰
성과
였다.게다가 아마추어 천문가인 김지현 씨와 김동훈 씨는 최근에 입수한 구경 18인치 돕슨식 망원경을 이용해 달과 행성, 그리고 성단의 모습을 관측팀에게 선사하고자 했으나, 날씨가 흐려서 아쉬웠다. 그 대신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커넥톰 연구에서 상반된 주장을 펼쳐온 뇌과학자들이 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 최초로 만났다. 그간 뇌신경 연결지도를 만드는 연구는 두 그룹을 중심으로 진행 ... 열린 토론에서 양 진영의 불꽃 튀는 의견이 오갔다는 후문이다. 앞으로 두 진영이 커넥톰 연구에 어떤
성과
를 낼지 궁금하다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라며 “앞으로 생물학이나 의학 같이 미시세계를 다루는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성과
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미시세계를 들어 올리는 광집게가 앞으로 얼마나 더 큰 가능성을 들어 올릴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판단하고 포기했다. 굴드는 TRG에서 칼륨 증기로 실험을 계속했지만 1960년까지 별다른
성과
를 내지 못했다.미국 유수의 연구소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사이에, 휴즈 사에 소속된 작은 기술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시어도어 메이먼도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실험에 속도를 내고 있었다. 그는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성공 마법의 영역에서 현실로 들어온 지 고작 4년 정도밖에 안 됐으니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
도 어찌 보면 대단한 셈이다. 그렇다면 완벽한 투명망토를 언제쯤 기대할 수 있을까. 사실 이 문제는 쉽지 않다. 완벽한 투명망토가 등장하려면 여러 장벽을 뛰어넘어야 하기 때문이다.우선 파장이 지금보다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미적분, 기하학 정보를 탭으로 분류해 검색이 용이하다. 최근 물리학에서 일어나는 연구
성과
나 뉴스를 받아 보고 싶다면 ‘아이피직스업데이트(iPhysics-Updates)’가 제격이다. 아이폰의 푸시 기능을 이용해 최신 뉴스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양서류 멸종 막고 도시 소음 재는 애플리케이션앞으로는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
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활동하고 있다). 과학도를 꿈꾸는 학생들이나 과학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이번
성과
전시회에 오셔서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마음껏 즐기시기를 바랍니다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실리고, 과학저널 ‘네이처’에서 주목받는 연구로 소개되는, 가문의 영광과도 같은
성과
들을 어떻게 짧은 기간에 그토록 여러 번 낼 수 있었을까. 김상국 교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보니 그렇더라”고 말한다. 얼핏 들으면 너무 쉽고 간단하게 이뤄진 것처럼 들리기도 했다. 하지만 좀 더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10월 2일자 저널 한 권을 통째로 제 얘기로 채우고, 12월에는 ‘2009년의 과학 연구
성과
’ 1위로 꼽을 정도로 유명한 화석이에요. 뭐, 한국에서는 별로 주목을 못 받았지만 말이에요.저는 지금껏 발견된 유인원 화석 중 가장 오래되진 않았어요. 700만 년 전의 유인원 화석도 있으니까요. 그런데도 제가 ... ...
김빛내리 교수 ‘셀’지 편집위원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해 국제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49편의 논문을 발표한 김 교수의 연구
성과
를 높이 평가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셀에 제출된 논문을 심사하고 관련 연구 분야에 자문을 하게 된다. 김 교수는 이에 앞선 1월 5일 현택환(46)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함께 서울대 최초 ‘중견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