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의 행성 지구, 수원지는 ‘맨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훨씬 깊은 지하 수백km의 맨틀 속에서 만들어졌다는 뜻이었다. 이어 X선 회절 분석과 적외선 분광 기법을 통해 광물의 내부를 연구한 결과, 링우다이트에 미량의 물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물이 풍부한 환경에서 광물에 스며들고, 그게 킴벌라이트를 통해 지표까지 나왔다는 것이다.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8년 노벨 생리의학 수상자인 조슈아 레더버그의 주장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는 “인간은 선이고, 미생물은 악이라는 편견을 끝내자”고 주장했다. 질병이 인간에게서 분리되고 적대시되며 박멸해야 할 대상이라는 지극히 근대적인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아마도 우리는 질병과 관련된 많은 ... ...
- 침으로는 ‘슴부심’을 채울 수 없어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봐도 거의 더 나오지 않았습니다. 국내에서는 2013년에 나온 논문이 하나 더 있습니다. 앞선 논문보다는 약간 더 자세하지만, ‘일개 한의원의 증례 연구’일 뿐이라고 한계를 명시하고 있습니다.침을 이용한 가슴확대 시술은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걸 갖고 몇백만 원씩 받았으니 ... ...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직선은 유클리드 기하학과 마찬가지로 한없이 연장할 수는 있었지만, 구면 위의 직선 길이는 유한했기 때문이다.새로운 기하학, 중력 공간을 제시하다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실재하는 물리적 공간에 얽매이지 않은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기하학이 유일하다는 사고에서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위해 광케이블이 쓰인다. 광케이블은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바꿔 정보를 전달하는 선을 말한다. 광신호는 전기 신호와 비교하면 빠르게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멀리 이동하면 이동할수록 중간에서 정보가 사라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완전히 막지는 못했다.빛 정보의 손실을 막기 위해 ...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성당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암호처럼 감춰 놓은 수학적인 상징이다.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숫자를 더했을 때 각각 33이 되는 이 마방진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기념한다. 그리고 중복된 숫자 10과 14를 더하면 48이 나오는데, 48은 9+13+17+9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숫자를 라틴어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상황을 파악해 보겠다”고 말했다.한편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숭실대 수학과 황선욱 교수는 “앵무조개와 같이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황금비의 예는 생명체의 성장패턴을 황금비로 볼 수 있다는 관점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교과서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근거가 ... ...
-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데 적격이었다. 이렇게 탄생한 동그란 눈처럼 생긴 전조등과 차체의 부드러운 곡선은 이제는 BMW만의 정체성이 됐다. 정의승 교수가 말했다.“쓰기 편하고 안전하며, 감성을 건드리는 디자인이 자동차 인간공학의 전부는 아닙니다. 한 번 더 보고 싶고 자꾸 타고 싶은 걸 넘어, 소비자가 자동차의 ...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비율을 계산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원본 작품의 색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어 연구팀은 X선 카메라와 측광기로 원본 그림 표면의 색소 상태를 조사했다. 그리고 두 정보를 조합해, 원본의 캔버스에 어떤 빛을 쐈을 때 원래의 색과 느낌을 잘 되살릴 수 있을지 결정했다.마지막으로 이렇게 만든 빛을 ... ...
- 홍자의 친구 사귀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특정하게 정해 놓아 눈길을 끈다. 이용자가 맺은 친구 중에서 교류가 잦은 친구들 50명만 선정해 사진을 공유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 50명일까?‘50’이란 수는 사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이자 인류학자인 로빈 던바가 제시한 이론에서 착안된 수다. 로빈 던바는 1993년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