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5°가 되도록 쏘아주면 빛이 들어온 방향으로 다시 반사돼요. 하지만 반대쪽 45°에서 쏘면 빛이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죠. 즉, 비스듬히 보아야 얼굴을 볼 수 있는 거예요. 연구를 담당한 왕쑤첸 연구원은 “이 물질은 아군에게만 보이는 군사위성 등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작은 구조물을 만들 때는 이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은 빛에너지를 이용해 고체 입자를 생성한 뒤 모양을 프린팅하거나, 작은 입자를 내보낼 수 있는 탐침 시스템을 만들어 물체를 쌓는다. 안성훈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에서는 3D 나노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23.5° 기울어져 있어 태양의 남중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태양 빛이 스포트라이트처럼 정확하게 정자를 비추는 시간은 하루 중 몇 분 안 된다. 이때를 놓치지 않고 감상하려면 방문하려는 날짜의 시간에 따른 태양고도를 알아보고 가야 한다. 10시 40분. 숨을 죽이고 시계를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열어요. 95개 나라 4만 5천 장의 사진 중 2018년의 주인공이 된 사진들은 무엇일까요? 황금빛 커플 | 황금들창코원숭이 커플이 조용히 먼 곳을 응시하고 있어요. 황금들창코원숭이는 멸종위기종으로 현재는 중국 친링 산맥에서만 어렵게 발견할 수 있지요. 마르셀 작가는 거친 산맥을 힘겹게 돌아다닌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약 한 달 뒤인 6월 13일, KSTAR는 최초로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12년의 연구가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8년, KSTAR 연구진은 플라스마 중심 이온온도를 1.5초간 1억 도 이상으로 올리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8월 말부터 12월까지 진행한 KSTAR 플라스마 실험을 통해서다.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만큼 저항이 커진다. 광학필름 방식은 디스플레이 전체에 광학필름을 배치할 경우 빛의 이동 통로를 설계하는 게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안 박사는 “광학필름 방식이 대면적화에는 가장 불리할 것으로 예상 된다”며 “대면적화와 함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한 지문인식 센서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분포하는 열수광상은 바다의 화학조성 및 물질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태양 빛이 전혀 닿지 않는 심해 환경에서 생물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생물자원의 보고이기도 합니다. 한편 이 과정에서 구리나 아연 등 각종 유용한 금속이 밀집한 심해 열수광상이 만들어지는데, 오늘날 세계 ... ...
- [과학뉴스]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용해 합성수지인 아크릴레이트 액체가 든 실린더에 비췄다.실린더가 회전하는 동안 빛에 노출된 아크릴레이트는 광자를 흡수하며 딱딱하게 굳었다. 이 과정에서 아크릴레이트 액체 속에 3D 물체가 통째로 만들어졌다. 수cm 크기의 물체를 프린팅하는 데 약 2분이 걸렸다. 연구에 참여한 헤이든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일이 전파대역에서만 가능해서다. 자외선이나 가시광선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해 관측하는 간섭계는 망원경끼리 100m만 떨어져도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런 차이 때문에 파장이 훨씬 긴 전파대역에서 역설적으로 가장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 ...
- 블랙홀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정도 예견된 것이다. 우주가 현재와 같은 팽창을 계속한다면, 블랙홀은 호킹 복사를 통해 빛을 방출하면서 에너지를 잃어 결국 우주에서 사라질 것이다. 하지만 블랙홀이 사라지기 전에 우주가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양자역학에서 질량이 큰 물체를 작은 공간에 가두면 에너지가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