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 Black Hole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빛조차 빨아들이는, 그래서 우리 눈에는 그 형체조차 보이지 않는다고 알려진 블랙홀. 지금까지 우리가 봐왔던 블랙홀의 모습은 모두 상상도다. 그 누구도 블랙홀의 ‘실사’를 단 한 차례도 보지 못했다.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을까. 2006년 전 세계 36개 기관 소속 천체물리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보색 관계이지요. 보색은 ‘돕다’라는 뜻의 ‘補(도울 보)’와 ‘색’을 뜻하는 ‘色(빛 색)’을 합쳐 ‘서로를 보완하는 색’이라는 의미가 있어요. 한편, ‘잔상’은 어떤 물체를 오랫동안 바라보다 다른 곳을 보면 그 물체가 잠시 보이는 경우를 말해요. 특히 흰 배경에서 잔상이 원래의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판 65개를 이어 붙인 형태여서 햇빛을 반사해 밝게 빛난다. 9개월 동안 지구를 돌며 빛을 발할 예정이었지만 그해 3월 23일, 예상보다 훨씬 일찍 지구로 떨어졌다. 다행히 대기권에서 불타 없어져 큰 문제는 없었다.휴머니티 스타처럼 반짝이는 또 다른 인공물체도 발사가 예정돼 있다. 미국 예술가인 ...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가 ‘앎’과 ‘삶’을 좀 더 일치시킬 수 있을 때, 배움이 더 빛이 나지 않을까. ● 인간은 생각하는 기계다, 마음과 사회_마빈 민스키 지음, 새로운현재“인간은 생각하는 기계다.”인공지능의 개념을 창시해 ‘인공지능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빈 민스키 미국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은하계 안의 모든 별의 질량을 합친 양만큼의 연료를 싣고 가야합니다. 그래서 거의 빛과 같은 속도를 낼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저는 2016년 유리 밀너라는 기업가와 협력해 ‘브레이크스루 스타샷’이라는 장기적 연구 및 개발 프로그램을 출발시켰습니다. 이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열어요. 95개 나라 4만 5천 장의 사진 중 2018년의 주인공이 된 사진들은 무엇일까요? 황금빛 커플 | 황금들창코원숭이 커플이 조용히 먼 곳을 응시하고 있어요. 황금들창코원숭이는 멸종위기종으로 현재는 중국 친링 산맥에서만 어렵게 발견할 수 있지요. 마르셀 작가는 거친 산맥을 힘겹게 돌아다닌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23.5° 기울어져 있어 태양의 남중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태양 빛이 스포트라이트처럼 정확하게 정자를 비추는 시간은 하루 중 몇 분 안 된다. 이때를 놓치지 않고 감상하려면 방문하려는 날짜의 시간에 따른 태양고도를 알아보고 가야 한다. 10시 40분. 숨을 죽이고 시계를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일이 전파대역에서만 가능해서다. 자외선이나 가시광선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해 관측하는 간섭계는 망원경끼리 100m만 떨어져도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런 차이 때문에 파장이 훨씬 긴 전파대역에서 역설적으로 가장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약 한 달 뒤인 6월 13일, KSTAR는 최초로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12년의 연구가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8년, KSTAR 연구진은 플라스마 중심 이온온도를 1.5초간 1억 도 이상으로 올리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8월 말부터 12월까지 진행한 KSTAR 플라스마 실험을 통해서다.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작은 구조물을 만들 때는 이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은 빛에너지를 이용해 고체 입자를 생성한 뒤 모양을 프린팅하거나, 작은 입자를 내보낼 수 있는 탐침 시스템을 만들어 물체를 쌓는다. 안성훈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에서는 3D 나노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