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설치, 빛을 90˚ 꺾이게 하여 경통 옆에 붙어 있는 접안경으로 보내는 방식을 쓰면 뉴튼식
반사
망원경이 된다파도의 상하 운동에너지 이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력을 얻고자 하는 파력발전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발전기·진자·전구 등을 내장한 부표를 만들고 이것을 물에 띄워 파도치는대로 ... ...
아름다움을 훔친 X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소개할게요.호접란나비를 닮은 독특한 곡선미를 가진 양란인 호접란을 찍었다. 빛의
반사
로 나타나는 곡선이X선에서도 나타날까 궁금했는데 비스듬히 놓고 찍자 호접란의 독특한 곡선이 나타났다. 장미장미의 바깥 꽃잎이 씨방과 암술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을 담았다. 평소보다 촬영 전압을 낮추고 ... ...
빛의 기원 파헤칠 새 우주망원경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미국에서 개발되고 있어요.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인데요, 2013년 발사되죠. 지름 6.5m의
반사
망원경이 달려 있어서 허블망원경보다 성능이 10배나 뛰어나요.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앞으로 빛의 기원을 파헤치고, 우리 은하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관찰한대요. 또 별과 행성이 만들어진 과정과 우리 ... ...
두 얼굴의 위성 이아페투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토성의 위성 가운데 타이탄, 레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위성인데, 한쪽 면은 빛을 잘
반사
하는 얼음으로 덮여 있어 하얗게 보이는 반면 반대쪽은 어두운 먼지로 덮여 있어 까맣게 보이는 특징이 있다.과학자들은 그동안 이아페투스의 어두운 지역을 덮고 있는 물질이 이아페투스보다 더 먼 궤도에서 ... ...
암흑물질 증거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많아요. 이런 물질을 암흑물질이라고 해요. 암흑물질은 검다는 뜻이 아니라 빛을 내거나
반사
하지 않아 볼 수 없다는 뜻이에요. 그러나 질량이 있어서 우주에 많은 영향을 미쳐요. 암흑물질은 질량을 기준으로 우주에 있는 모든 물질의 80%나 돼요. 우주에는 보이는 물질보다 보이지 않는 물질이 훨씬 ... ...
속 보이는 개구리 탄생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하나는 피부색을 띠게 하는 세포인 멜라닌색소포가 비정상이고 다른 하나는 빛을
반사
해 푸른색을 띠게 하는 광택세포에 문제가 있다.수미다 교수는 “이 둘을 인공수정으로 교배해 수정란을 키우자 투명한 올챙이가 섞여 있었고 이 올챙이는 예상대로 멜라닌색소포와 광택세포가 모두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곳에서는 상태(시각·장소)가 같게 된다 반면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이란, 태양광을
반사
하여 빛나는 행성이나 달의 빛나는 면이 어느 정도 지구를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행성과 지구를 연결한 직선이 태양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과 이루는 각을 위상각이라고 한다두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미약한 빛을 내는 천체를 짧은 시간에 촬영할 수 있는 특수한
반사
망원경 독일의 천문 광학가 B 슈미트가 1931년에 고안한 광학계(光學系)로 되어 있다 입력 진폭이 특정한 값을 넘으면 급격히 작동하여 거의 일정한 출력을 얻고, 소정의 값 이하가 되면 즉시 복구하는 특성을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빛은 위상의 변화가 없지만 물체에
반사
된 빛은 표면의 높낮이에 따라 위상이 달라진다.
반사
된 두 빛을 다시 한데 모으면 두 빛은 간섭현상을 일으킨다. 마치 물결이 겹칠 때 위상에 따라 물결파의 높낮이가 달라지듯 빛 역시 위상의 차에 따라 밝기가 변하며 무늬를 나타낸다. 빛의 간섭효과로 ... ...
공포가 코앞에 닥쳤을 때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판단으로 최선의 해결책을 찾는 이성적 영역”이라며 “사태가 급박해지면 본능적인
반사
행동을 관장하는 중뇌가 활성화된다”고 설명했다. 두 종류의 공포 회로를 발견한 이번 성과는 만성근심이나 공황장애처럼 공포 조절 능력에 문제가 생긴 질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