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내가 보낸 문제가 매우 흥미로워 보이니 생각해보겠다는 답장을 보내줬다. 그리고
다음
날 그 문제의 조건 몇 가지를 자세히 묻는 메일이 또 왔다. ‘정말 생각해 볼 모양이네’ 하는 희망이 생겼다. 하지만 그 후 몇 달이 지나도록 연락이 없었다. 다른 분야에서 나온 생소한 문제에 그렇게 관심 갖고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자그만 전구를 켜는 것도 모두 하나의 일부인 거지.”「저들이 로켓과 우주선을 만든
다음
에도 그렇게 생각할까요?」“그땐 행성 랄로랑이와 자신들 역시 타우타이 행성계의 현상 중 하나라고 생각하지 않을까?”화면 속 둥근 다면체를 다시 본다. 모뉴먼트. 호기심 많은 문명에게 전하는 선배 ... ...
[수학뉴스] 게임에 중독되는 이유 수학으로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질량(m=1-v)으로 두는 식으로 물리학의 개념과 게임의 요소를 연결했습니다. 그런
다음
축구, 체스, 바둑 등 게임별로 질량에 따른 마음의 ‘운동량’과 ‘위치 에너지’ 등에 대한 식을 세워 게임할 때 심리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운동량은 속도와 질량을 곱한 값으로 게임에 ... ...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때는 가장 낮은 음인 베이스 음을 먼저 익히고 왼손으로 연주할 반주를 만든다. 그런
다음
오른손으로 연주할 멜로디를 추가한다. ● 피아노 커버로 자신을 표현해 보세요! 피아노를 배우면 음악의 기초를 다질 뿐 아니라 자신만의 곡도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피아노로 ... ...
[핫이슈] 어수동 같이 읽고 놀이북 활동하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즐거운 시간을 가졌어요. 완성한 결과물을 선생님에게 열심히 자랑하기도 했어요.그
다음
수학과 미술 교과 융합 수업으로 ‘수학체 험실’에 실린 ‘감사 카드 만들기’를 했어요. 마침 어버이날을 앞두고 있었거든요. 허니콤 종이를 처음 만져봐서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친구도 ... ...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보인다. 반복되는 경험이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만들어요 신나게 놀다가
다음
날 쪽지 시험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곤, 막막한 기분이 든 적 있을 거예요. 그럴 때면 한 번만 봐도 머릿속에 딱 박히는 기억력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 생기지요. 학습과 기억은 대뇌 안에 있는 해마가 담당하고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미니앨범(EP)은 8000장이 넘게 팔렸다. 좋은 시작이었다. 앨범을 판매한 돈으로
다음
앨범,
다음
앨범을 계속해서 발표해 나갔다. 낡은 승합차 한 대를 중고로 구매해 초대받지도 않은 지역 축제를 무작정 찾아다니며 거리공연을 이어 나갔다.과정을 간직하고 싶어 아는 형에게 영상을 부탁했다. 형은 ... ...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예시를 보고 잘 따라 풀어보세요! ➊ 가감법각 방정식에 적절한 상수를 곱한
다음
방정식끼리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미지수 한 개를 없앤 뒤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① 미지수 x를 없애기 위해 식 ⓐ에 각 항마다 2를 곱한다.② 식 ⓐ에 2를 곱한 식에서 식 ⓑ를 빼 y를 구한다.③ y를 식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배운 농도 공식을 활용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의 농도를 구해 봅시다. 농도 공식은
다음
과 같습니다. 용질은 어떤 용액에 녹아있는 물질을 말하고 용매는 용질을 녹이는 매체를 의미합니다. 두 용액이 섞였을 때는 양이 적은 쪽이 용질이고, 많은 쪽이 용매입니다. 소금물을 예로 들어볼게요. ... ...
[이달의 과학사] 1910년 3월 5일 즉석 라면의 발명가 안도 모모후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보관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 않을까요? 그는 밀가루로 만든 면을 뜨거운 증기로 익힌
다음
기름에 튀기고 건조해 보관하기 편하게 만들었어요. 여기에 뜨거운 물만 부으면 바로 먹을 수 있는 국수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1958년 8월 25일, 안도 모모후쿠는 자신의 회사인 ‘닛신 식품’에서 세계 최초의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