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 인상적”이라며 “앞으로도 UNIST 학생들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싶다”고 말했다.서 교수는 “UNIST-하버드 공대 하계 프로그램은 매년 여름방학 진행될 예정”이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UNIST의 우수한 학생들이 외국과 교류하는 한편, 창의적인 연구를 경험하는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코딩에 도전하자, 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문제부터 조금 복잡한 문제까지 난이도가 다양하다”고 말했다.NYPC는 넥슨과 넥슨재단이 공동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문화재단이 후원한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비롯해 장학금과 부상으로 노트북이 주어진다. NYPC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귀를 사람 몸에 이식할 수 있지 않을까. 강현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연골 세포를 귀 모양으로 3D 프린팅해 동물실험까지 성공했다.doi : 10.1038/nbt.3413 연구팀은 하이드로겔에 연골 세포를 섞은 바이오 잉크로 3차원 구조의 귀 조직을 찍어냈다. 이때 물리적인 ... ...
- 이윤주 한성과학고 입학홍보부장 - “성패보다 성장 꿈꿔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첨단 기자재를 지원하고 있다.특히 한성과학고가 자랑하는 것은 ‘공동체 의식’이다. 이부장은 “역사가 오래된 만큼 선후배 간의 끈끈한 연대가 한성과학고의 가장 강력한 무기”라며 “과제연구나 R&E 등을 진행할 때 교사뿐만 아니라 졸업한 선배까지 물심양면으로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디자인해 만들기도 좋아하셨어요. 일본의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와 함께 공동 작업으로 파리의 패션쇼에 서기도 하셨죠. 사실 전 서스턴 교수님이 아닌 다른 분의 제자가 되려고 했어요. 그런데 그 분께 아무리 메일을 보내도 답장을 주시지 않아, 우연히 교수님의 제자가 된 거예요. ... ...
- [수학공작실] 마름모삼십면체 드림볼로 즐기는 공놀이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배치가 모두 같은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중 하나다.적정기술은 기술이 쓰이는 사회 공동체의 정치적, 문화적, 환경적 조건을 고려해 만든 기술을 말한다. 특정 지역에서 원하는 결과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하는 가장 단순한 수준의 기술이다. ㈜한화는 적정기술을 이용해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나 어루러기(갈색 반점 형태의 피부병) 등을 일으킨다.서울대병원과 대구보건대 공동연구팀이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2016년 12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15년 6월 부산 해운대 백사장에서 모래시료 100개를 채취해 균 배양검사를 진행한 결과, 21%에서 피부사상균 23종이 검출됐다.doi:10.15324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진은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인간 배아에 직접 적용해 돌연변이를 교정하고 유전 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염기 하나만 정교하게 잘라낼 ...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있다. 전자의수, 촉감까지 느낀다한편 미국 존스홉킨스대, 싱가포르국립대 등 공동연구팀은 최근 압력을 감지하는 전자피부를 전자의수에 씌워 촉감까지 느껴지는 전자의수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환상사지(phantom limb·팔이나 다리를 잃고도 여전히 팔이나 다리에서 감각을 느끼는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확인됐습니다.” 펭 딩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특훈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다이아몬드답지 않은 다이아몬드의 특징을 새롭게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20일자에 그 결과를 발표했다. 불변의 상징인 다이아몬드가 나노 세계에서는 구부러지고, 심지어 그 변화의 정도가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