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개"(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간 몇 차례 일본 취재에서는 ‘아시모’와 연이 닿지 않았다. 혼다가 2000년 처음 공개했으니, 아시모 나이도 어느덧 열일곱이다. 처음에 120cm였던 키는 130cm로 자랐고, 몸무게는 54kg에서 48kg으로 줄었다. 최근에는 영어도 익혔다. 아시모는 휴머노이드의 대명사처럼 불린다. 10분쯤 이어진 공연에서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용의자뿐 아니라 피해자를 찾을 때에도 사용된다. 실종 아동을 찾기 위해 사진을 공개하는 경우를 봤을 것이다. 하지만 사진이나 영상만으로는 미아를 찾기가 쉽지 않다. 특히 오랜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아이의 얼굴이 변해 찾기가 더욱 힘들다.실종 아동 본인도 자신의 어린 시절 얼굴을 모를 수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4월 여섯줄 보리의 게놈을 해독해 표준 게놈지도를 완성한 뒤,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기 때문이다(doi:10.1038/nature22043). 보리는 전세계 주요 곡물 중 하나다. 그럼에도 그 게놈이 비교적 늦게 밝혀진 이유는 해독이 까다로워서다. 게놈의 크기가 인간 게놈의 두 배에 달할 만큼 크고, 게놈의 8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모두가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다. 이 소식을 접한 기자는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수는 이 노트를 계속 보관하다가 2017년 5월 10일,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모 아니면 도인 성격의 소유자, 그로텐디크 말구아르 교수는 그로텐디크가 극단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며칠 동안 굶다가도 무언가 한 가지를 꼭 먹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면 하루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처음으로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총 5가지 방법을 공개했는데, 이게 전부인지는 알 수 없다며 몇 개가 더 있는지를 미해결 문제로 남겨두었지요. 하지만 볼록육각형일 때는 가능한 무늬가 3가지밖에 없다고 증명했습니다.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는 50년 ... ...
- Intro. 푸드트럭 성공공식수학동아 l2017년 12호
- 7대는 문을 닫았다고.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냐고? 내가 터득한 성공 법칙을 살짝만 공개해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푸드트럭 성공공식Part 1. 핫스팟을 찾아라!Part 2. 재료를 준비하라!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쥔 채 다트로 재활운동을 시작한 뒤, 프로 다트 선수가 됐다는 조광희 선수의 인터뷰를 공개합니다. 프로 다트 선수가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처음에는 재활운동을 하려고 지팡이를 들고 왔다갔다 걷는 연습을 했어요. 기왕이면 뭐라도 하면서 걷는 게 좋다고 생각해 다트를 떠올렸어요. 다트를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없어도 오픈소스의 데이터만 바꾸면 대충 쓸 만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공개된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해 더 좋은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알파고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는 구글 딥마인드 팀조차도 아직 완성하지 못했다. 알파고 제로의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약 200명이 테뉴어 트랙에 있다. 테뉴어를 받은 PI는 4년 주기로 계속 평가를 받는다. 한편 공개 채용을 통해 새로 영입된 PI는 테뉴어 트랙으로 연구를 시작하고 테뉴어 여부는 2년 뒤 중간평가, 다시 4년 뒤 최종평가를 거쳐 결정된다. 최종평가에서 테뉴어를 받지 못하면 즉각 연구소를 떠나야 하는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