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즌
시절
철
절기
사철
절후
시기
d라이브러리
"
계절
"(으)로 총 1,17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데 이어 두번째로 조사한다고 했다. 앞으로 여름에 한번 더 이 해역을 조사하면 남해안의
계절
별 해양자원도가 완성된다.전국과학교사 자연생태계 탐사가 11회 진행되는 동안 교사들은 이제까지 지도교수의 인솔하에 탐사에 참여해왔는데 이번 탐사의 경우 한국해양연구소 연구원들과 함께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같은 무더운 여름과 혹독한 겨울이 없고 연중 기온의 변화가 적어서 한국처럼 뚜렷한 사
계절
이 없다. 그러나 내륙의 높은 산악지대나 남섬의 남단에는 겨울에 눈이 오고 춥다.뉴질랜드가 언제 섬으로 바다 위에 나타나게 됐는지 아무도 정확히 모르지만 대개 1억6천만년에서 1억2천만년 전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건계에 토양이 마를 때는 염기가 모세관수를 따라 다시 위로 올라온다. 이같은 과정이
계절
적으로 반복되므로 염기는 A층에서 순환된다.초본식물도 석회화작용을 돕는다. 풀은 매년 고사하는 줄기와 잎으로도 유기물을 공급하지만, 뿌리의 형태로 토양층에 직접 추가하는 유기물의 양도 적지않다. ... ...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함으로써 경감시킬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북쪽에 사는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
계절
성 질환(SAD)은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겨울이면 태양빛을 저게 받게 돼 더욱 악화되는데 이 질환의 치유를 위해선 아침과 저녁에 밝은 불빛아래 있는 것이 추천된다. SAD질환의 경우 겨울이 되면서 어두운 시간이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벚꽃과 철쭉, 여름에는 신록,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무빙(霧水·설화)을 보이는 등 네
계절
의 변화가 다양하다.필자는 겨울, 여름 2회 방문했으나 불행히도 안개가 뒤덮여 있어 10m 전방을 식별하기 곤란할 정도였다. 이러한 연유에서 기리시마(霧島 : 안개 섬)라고 불리는 듯하다.가고시마(鹿兒島)는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익히는 이유는 나름대로 다양하리라. 별을 통해 인류의 상상의 역사를 배우기도 하고,
계절
이 바뀜에 따라 나타나는 하늘의 아름다움을 보는 즐거움을 갖기도 한다. 광대한 우주에 대한 그 감춰진 신비를 미약하나마 캐볼 수도 있다.긴 겨울밤 동안 여러분 모두의 기억에 남는 멋진 별 여행을 해보기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기온이 떨어지고 저지대는 바다로 덮이게 됐다. 그리고 백악기 중엽에 와서 지구에도
계절
이 생겨나고 당시 생물들은 겨울을 경험하게 됐다.이러한 기후 변화와 더불어 공룡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대륙의 이동이 밝혀진 사실이다. 약 2억5천만년 전 중생대가 시작될 무렵 오늘날의 대륙들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다는 일본 기상청의 보고와 일치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과연 이러한 현상이 매년
계절
적으로 나타나는 일시적인 요인인가, 아니면 그동안 인류가 배출한 CFC(염화불화탄소)가 누적돼 급격하게 오존층이 파괴된 결과인가에 많은 학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두 얼굴의 오존오존이란 산소원자(O)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밤하늘은 여름이 스쳐 지나간 서쪽 하늘을 제외하곤 매우 공허함을 느끼게 한다. 다른
계절
에 비해 뚜렷하게 밝은 별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북쪽하늘에는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이 지평선 아래로 모습을 감추고 있고 동쪽하늘에는 아직 화려한 겨울의 1등성들이 보이지 않는다. 머리 위에 높이 떠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있다. 수천년 전 이 별들이 태양과 같이 떠오를 때 겨울은 지나가고 부드러운 비의
계절
이 시작되었다. 행운을 느끼기에 충분한 이유가 되었던 것이다.고대의 천문학자와 성직자들은 물병자리를 통한 태양의 진로를 주의 깊게 연구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천문학자들에게 더욱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은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