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를 통틀어 ‘식이섬유’라고 부릅니다.식이섬유가 위장에서 전혀 분해되지 않는 건 아니에요. 사람의 장에 사는 미생물 중에는 식이섬유를 분해할 수 있는 것들도 있거든요. 만약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식이섬유를 먹는 미생물이나 식이섬유가 분해된 찌꺼기를 먹는 미생물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그림을 그리고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디지털 세계에서 만드는 거랍니다! 다음 Mission 건강하고 즐거운 디지털 생활을 위한 우리 가족의 디지털 밸런스 조절 목표를 세워 볼까요? 가족회의 등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목표를 세워 어과수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많은 참여 바라요! 참여 ... ...
-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전문은행을 짓기 위해 농식품부는 2년간 미생물 자원 7679주, 유전자원정보 1290건을 수집했어요. 마이크로바이옴 전문은행에는 아주 크고 차가운 냉동고가 설치될 거예요. 미생물을 섞은 용액을 영하 40°C 냉동고에서 한번 얼렸다가, 영하 80°C의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거든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할로윈 특집 우리 집 부엌에 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한걸음 더!제빵사와 과학자가 사랑한 이스트!풍선을 부는 이스트를 사랑하는 건 섭섭박사님만이 아니에요. 제빵사와 과학자도 이스트를 사랑하죠. 이유가 뭘까요? 이스트는 생소한 단어 같지만, 사실 자주 접하는 물질이에요. 빵을 만들 때 이스트가 쓰이거든요. 밀가루 반죽에 이스트를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생태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거죠.”박쥐에게 수많은 바이러스가 있는 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원래 박쥐와 인간은 만날 기회가 많지 않았어요. 그러다 인간이 무분별하게 자연을 개발하며 박쥐의 서식지가 파괴됐죠. 이렇게 박쥐가 살 곳을 잃으면서 인간과 자주 접촉하게 돼 인간에게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우리 집 주방에서 화산이 폭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것처럼 생생한 화산 폭발 장면을 연출할 수 있답니다. 화산에서 뿜어져 나오는 건 용암뿐만이 아닙니다. 화산가스는 땅속에서 높은 압력을 받아 용암 속에 녹아 있다가, 지표면 근처로 올라오며 압력이 낮아지면 밖으로 분출돼요. 화산가스는 대부분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 ...
- [기획] 황색망사먼지, 이렇게 똑똑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황색망사먼지가 우주에서 양육될 정도로 과학자들에게 관심을 얻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지능’! 뇌가 없는 이 생물의 지능은 뇌 속 신경세포 ... 궁극적으로 건강한 세포와 암세포 사이의 의사소통 능력 차이를 밝혀내, 암세포를 건강한 세포처럼 행동하도록 만드는 게 꿈이랍니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이유는 무엇인가요?A소변을 봤는데, 레몬 빛깔의 오줌을 보곤 건강에 이상이 생긴 건 아닐까 걱정한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아마 그날 아침 종합 비타민을 먹었을 확률이 높아요. 비타민을 먹고 오줌 색이 변하는 이유는 ‘비타민B2’ 때문이에요. ‘리보플라빈’이라 불리는 비타민B2 물질은 ... ...
- [기획] 우주 승객 ‘블롭’,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않지만, 두슈투어 연구책임자는 “우리가 키우는 황색망사먼지 중 가장 나이가 많은 건 70살이며, 아직 정정하다”고 말했다.✚성별 MAT:A2-B3/FUS:A1-B1-C1, AXE 황색망사먼지의 성별은 암컷과 수컷으로 나뉘지 않는다. 황색망사먼지가 교배에 성공하려면 교배에 관여하는 유전자끼리 조합이 ... ...
- [파고캐고 지질학자]주왕산 정상이 평평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물론 화산분화로 꼭대기에 호수가 생긴 한라산도 있지만요. 산꼭대기가 뾰족한 건 당연해 보이지만, 사실은 이것도 지질학자의 연구 대상입니다. 왜 산꼭대기는 뾰족할까요?산이나 산맥이 만들어질 때는 한 지역의 고도가 상승하는 융기 현상을 겪습니다. 이렇게 융기한 지역에 비가 내리면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