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시"(으)로 총 1,0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과학동아 l1990년 05호
- 확대상의 관찰을 목적으로 하는 현미경이므로 기본구조는 광학현미경과 유사하다. 단지 가시광선 대신에 전자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선이 통과하는 경통내를 고(高)진공으로 유지해야 하는 점, 자계렌즈를 사용하는 점, 시료를 주사시키고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회로가 사용되는 점 ... ...
- 나방의 분신자살과학동아 l1990년 05호
- 부리도 길지만 혀의 길이는 부리의 5배 가량이나 된다. 혀는 끈끈하고 길며 혀 끝에는 가시가 있다. 그들은 가늘고 긴 이 혀를 나무틈새에 넣어 작은 벌레를 잡아 먹는다. 그들이 좋아하는 먹이에는 개미 흰개미 나무좀벌레 등이 있다.4. ①전갈은 바로 옆에서 벌레가 날개를 쳐도 모르나 그것이 모래 ... ...
-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창과학동아 l1990년 05호
- VLA(Very Large Array)는 직경 26m의 안테나 27기를 수십 ㎞까지 구성할 수 있어서 가시광선 관측의 분해능을 능가하게 되었다.또한 안테나간의 거리가 클수록 분해능이 향상되므로 대륙간 초장기선을 이용한 VLB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 전파간섭계와 더불어, 일본 유럽 소련에서는 우주공간에 . ...
- 4월12일 허블우주망원경 띄운다과학동아 l1990년 04호
- 보다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우주망원경에는 5개의 관측장치가 실리는데 가시광선만이 아니고 자외선관측도 이루어진다. '미시물체 스펙트로그래프'는 은하와 혜성 그리고 퀘이사 등의 화학조성을 알아내며, '고분해능 스펙트로그래프'는 자외선의 분광관측을 수행해 팽창하는 ... ...
- PARTⅠ 16, 64메가 D램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전환을 한다는 의미에서 U(Ultra)LSI연구소를 설립함으로써 16, 64메가D램개발의 도전욕구를 가시화하고 나섰다. 이같은 용어의 변경을 단순한 의지표명이라고 볼 수만은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 그동안 개발 또는 제작해 온 1메가D램, 또는 4메가D램과 16, 64메가D램은 숫자상 큰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 ...
- 공기의 흐름을 눈으로 보다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장치를 작동시키면 공기의 움직임에 따라 입자가 소용돌이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것을 가시화 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이러한 전과정은 비디오에 기록된다.이 자료를 바탕으로 컴퓨터 모의실험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제조업자들은 자신이 개발한 장치들의 결함을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게 ... ...
- 곰은 동면중에 배설을 어떻게 하나?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있었다. 비단구렁이는 몸안에 아직도 엉덩뼈의 흔적이 있으며, 항문 양쪽에 두개의 가시같은 뾰족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뱀은 다리가 없으므로 이동할 때 비늘을 세우고 옆구리근육을 번갈아 구부러지는 띠처럼 움직인다. 그러면 옆구리가 돌이나 식물줄기 같은 지상의 장애물을 밀어서 ... ...
-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과학동아 l1990년 02호
- 파장이 길어짐에 따라 남 파랑 초록 노랑 주황색을 거쳐 7백nm 근처가빨강색이다.가시광선의 보라색보다 파장이 더 짧으면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는데 이 영역이(약 4백nm부터 수 nm까지) 자외선이다. 이 자외선의 이용으로는 우선 형광등을 들 수 있으며, 유리관안 표면에 입혀진 형광물질이 자외선을 ... ...
-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신호전달이나 가시광선에서의 빛전달용으로는 크게 활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가시광선과 만나면 '펄펄' 난다.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면 다양한 색깔의 빛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용 표시판 제작에 이용하기도 한다.이러한 플라스틱 광섬유의 가장 큰 문제점은 높은 감쇄율이다. 197 ...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과학동아 l1990년 01호
-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반면 뒤의 두가지는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피해가 가시화하고 있는 '선진국형'이다.흥미로운 것은 우리나라의 아황산가스 오염도가 일본이 최악의 공해상태였던 지난 67년과 비슷하다는 점이다. 일본의 오염도는 그후 해마다 줄어들어 현재는 우리나라의 5분의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