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뉴스
"
속
"(으)로 총 10,586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지구를 식혀라! 묘안
속
출…‘설국열차’처럼 재앙 초래할 수도
채널A
l
2013.08.22
지구의 평균기온이 0.5도 내려갔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땅
속
깊이 묻거나 바다에 저장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조천호 /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과장] 철분을 해양에 뿌리게 되면 식물성 플랑크톤이 더욱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 ...
출연硏 비정규직 대책들 '눈가리고 아웅'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13.08.21
1847명에서 2467명으로 33.6%가 늘었다. “전체 정부 출연연 중 산업기술연구회 소
속
12개 기관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전체 수치는 이 수치보다 약 두 배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퍼센티지 말고 숫자로만 본다면 엄청나게 많은 비정규직 박사급 연구 인력들이 출연연에 있는 ... ...
레이저로 만든 집게, 최고의 유전자 배달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깜빡이는 극초단파 레이저를 쏴서 작은 구멍을 만든 뒤 광집게로 붙잡은 입자를 세포
속
으로 전달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방식은 세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뚫린 구멍이 세포의 치유 현상에 의해 저절로 닫힌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렇게 전달한 유전자가 48시간 뒤 발현돼 ... ...
[채널A] 국내 연구진, 몸
속
에서 녹는 철심 개발
채널A
l
2013.08.20
체내에 있는, 특히 뼈에 많이 있는 마그네슘과 칼슘 이러한 원소를 주로 사용해서 분해
속
도가 아주 낮게 제어되는… 기존 티타늄 소재 나사처럼 나중에 제거수술을 따로 할 필요가 없는 게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인터뷰: 한경진 / 아주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흡수성 나사못을 쓰면 나중에 2차적으로 ... ...
[신나는 공부]할 일은 많고 시간은 부족? ‘하루’를 계획해 움직여라
동아일보
l
2013.08.20
논리였다. 낮잠은 처칠의 오랜 습관이었다. 세계대전 중 적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굴
속
에 들어가서도 낮잠을 잤을 정도. 주위 사람들이 혀를 내두를 정도로 처칠이 모든 일에 열정적이고 의욕적일 수 있었던 것은 쉬는 시간을 틈틈이 활용했기 때문이다. ■벤저민 프랭클린 오늘 하루, 제 점수는요? ... ...
머릿
속
도 개운해지고 노화까지 막는 케익 나왔다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광고 카피 중에 '머릿
속
까지 개운하게 만들어준다'는 것이 있었다. 솔잎 향을 맡으면 숲
속
에 있는 것처럼 개운하고 상큼한 느낌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이 때문에 옛 사람들은 솔잎을 깔고 송편을 쪄내 떡의 깔끔한 맛을 더하고, 요즘은 치약이나 비누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솔잎 성분을 포함해 ... ...
지렁이 한 마리가 연못, 아니 지구를 망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기껏해봐야 손바닥 크기만한 지렁이가 얼마나 힘이 셀까? 그러나 지렁이는 우리의 생각 이상의 힘을 갖고 있다. 지구를 흔들만큼. 최근 미국 연구진은 심해에 사는 ... 개체수가 과도하게 증가해 바다
속
메탄농도가 증가하면 지구온난화가 가
속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 ...
쌀겨로 한우 성장
속
도 '확'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성일 연구원은 “생균제를 먹은 한우는 혈액
속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등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더 많이 존재했다”며 “생균제가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자연스럽게 체중이 불어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아빠! 어디가!” 느낌표를 달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브라운관
속
에서 자상한 아빠, 친구 같은 아빠의 모습이 강조되면 강조될수록 현실
속
의 아빠들의 낯빛은 점점 어두워지는 것이다. 그렇다. “다신 어디 가나봐라!”하고 외쳤는데 어디론가 가야만 할 것 같은 강한 불안감이 밀려온다. 아름답게 각색된 판타지를 현실이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이 ... ...
스마트폰으로 본 하늘 모습은?
동아일보
l
2013.08.18
“1300만 화소인 후면 카메라에 탑재된 광학식 손떨림 보정(OIS) 기술 덕분에 강한 바람
속
에서도 흔들림 없이 선명한 촬영이 가능했다”며 “스마트폰으로는 세계 최초로 성층권 촬영에 성공한 것”이라고 말했다. [화제의 뉴스] - ‘이산상봉-DMZ공원’ 박근혜표 대북정책 시동 - ‘내 몸 안의 ... ...
이전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