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뉴스
"
한
"(으)로 총 23,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뇌 닮은 '전자피부', 물방울 압력까지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뇌를 포함해 신경계를 구성하는 뉴런(신경세포)들은 아교세포와 협력해서 복잡하고 빠르게 신호를 전달
한
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웨어러블·헬스케어 기 ... - doi.org/10.1016/j.cej.2024.155175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전북대 공동연구팀이 개발
한
초민감성 전자피부. DGIST ... ...
축구 프로그램, 교도소 수감자 '사회 복귀' 도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같은 기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수감자는 100명당 31명이 규정 위반 행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다만 "이같은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는 수감자들의 태도와 낙관적 의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번 연구 결과는 축구 프로그램이 수감자들의 사회적 관계 ... ...
인간의 냄새 구분 속도, 눈 깜빡이는 속도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인간 후각은 눈을 깜빡이는 것보다 더 빠르게 냄새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후각은 보통 숨 ... 속도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다"며 "눈에서 색채 변화를 인지하는 것과 비슷
한
속도"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62-024-01984- ... ...
[과기원NOW] KAIST, 빛의 비대칭 전송 가능케
한
메타표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칼텍 등 연구팀과 광음향 영상 기술의 원리부터 실제 임상 적용사례 및 과제를 총망라
한
리뷰 논문을 ‘네이처 리뷰 엔지니어링’에 지난달 9월 발표했다고 밝혔다 ... ...
2050년까지 70세 이전 사망률 50% 줄이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현재의 조기 사망 위험을 낮추는데 집중해야
한
다고 보았다. 이번 보고서의 저자 중
한
명인 원후이 마오 미국 듀크대 글로벌건강연구소 수석정책분석가는 “보건 정책은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킨다”며 “좋은 보건 정책이 없다면 많은 사람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건강 결과를 얻지 못할 뿐 건강 ... ...
신약 개발 핵심 물질 '알렌', 위험물질 없이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전했다. 로데 교수는 "연구결과와 같은 촉매 반응성에 대
한
이해는 두 개의 화합물을 연결해 새로운 화합물을 만드는 커플링 반응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21/acscatal.4c0118 ... ...
360도 러닝머신, 가상현실에서도 실제처럼 걷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엔터테인먼트 및 게임 산업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개발
한
트레드밀은 전남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에 초청받아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전시된다 ... ...
의학전문가들, 이태원 참사 때 ‘슬픔’, ‘공포’ 증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장기적인 부정적 결과를 예방하고 개인과 지역사회의 회복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고 덧붙였다.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사회과학 & 의학’ 최신호에 실렸다. doi.org/10.1016/j.socscimed.2024.11727 ... ...
열 잘 견디는 산호 개량 가능하지만…"온난화 속도 더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선택하면 자손의 열 내성이 증가
한
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론적으로 산호의 내열성은
한
세대에 약 1℃씩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정도로는 예상되는 수온 상승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산호는 군집을 이루는 생물로 세대를 정확하게 나누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산호가 ... ...
비만 퇴치법 찾았다…지방 흡수 막는 '나노입자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있다”며 “비침습적이어서 침습적인 치료보다 환자의 순응도가 높고 독성이 낮아 유망
한
비만 치료제가 될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향후 쥐보다 큰 동물 모델 대상으로 나노입자 시스템을 적용해 인간에서의 잠재적 사용 가능성도 확인할 예정이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