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뉴스
"
고대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구단 외우지 않고도 곱셈할 수 있다고?!
수학동아
l
2013.05.20
구구단 없이도 곱셈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럿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5천 년 전,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구구단이 없이도 곱셈을 할 수 있었다. 이집트 사람들은 '2배하기'와 '더하기'만으로 곱셈을 했다. 예를 들어 25×13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라 곱셈을 할 수 있다. (주)동아사이언스 ... ...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매머드를 되살리기 위해 뭉쳤다. 스웨덴 자연사 박물관의 루베 달렌 교수는
고대
생물의 유전자 감식을 돕고, 캐나다의 짐 코츠는 동토층 전문가로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의 상태 및 안전성을 조언한다. 러시아 과학원 동물 박물관 알렉세이 티코노프 관장과 현지 매머드 헌터가 매머드 샘플 채취 ... ...
조선 최고 지식인 왕, 아비가 둘이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무기류는 남성인 진종의 부장품에만 있다. 이밖에 나무로 된 노비, 악공 등은
고대
순장 풍습의 흔적으로 조선 초기부터 왕릉의 부장품이었으나 영조가 인의(仁義)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금지하여 효순왕후의 상례를 치를 때부터는 조선 왕실 부장품 항목으로 넣지 않게 되었다. 파주삼릉으로 ... ...
마야 문명, 타 문명과의 교류 속에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3.05.03
과테말라와 남부 멕시코 일대에서 마야 문명이 거의 스스로 발전했다는 이론과
고대
올멕 문명이 마야에 큰 영향을 줬다는 이론이다. 미국 애리조나대 타케시 이노마타 교수가 이끈 미국과 일본 공동 연구팀은 마야 문명의 기원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 ...
[신문과 놀자!/생각이 크는 수학]지구의 둘레까지 잴 수 있다니…
동아일보
l
2013.04.30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알고 지구의 크기까지 계산한 학자가 에라토스테네스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며 천문학자이고 지리학자였습니다. 그는 하지(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가 되면 이집트의 시에네에 있는 어느 우물 바로 위에 태양이 오고, 거기서부터 900km 정도 떨어진 ... ...
먹을거리는 인류 문명을 어떻게 지배해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쓴 ‘음식의 제국’은 음식이 어떻게 문명의 흥망성쇠를 지배해 왔는지 들여다 본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국가나 근대 대영제국, 현대 미국과 중국의 곡창지대를 넘나들며 음식이 우리 인간에게 어떤 의미였는지를 짚어냈다. 분명히 잉여 음식이 문명을 만들었지만 저자는 이 문명이 음식을 ... ...
“스마트폰 속에 재미있는 수학이 꽉 찼네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되고 싶다”고 말했다. 초등학생을 청중으로 한 강의는 처음이라는 박 교수는 “수학은
고대
인이 사냥한 동물의 수를 세면서 시작된 만큼 실용성이 강한 학문”이라며 “이런 새로운 강연 형식이 아이들에게 수학도 코미디처럼 재미있다는 것을 알려줄 것”이라고 말했다. ‘톡톡! 개그 수학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해리엇이 먼저 생각해내기는 했다. 정작 라이프니츠는 훗날 ‘주역’을 공부하면서
고대
중국인들이 음양을 통해 2진수 체계를 이해하고 있었다고 믿었다. 2진수를 발견한 게 별 일 아닌 것 같지만 사실 이런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는 쉽지 않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도 있듯이 쓸 데가 있어야 ... ...
천문대에서 제임스 딘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건설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1935년 그리피스천문대는 여러 천문학자와 건축가의 도움으로
고대
그리스와 현대 건축양식이 조화를 이뤄 탄생했다. 개장 이후 2002년까지 7000만 명이 이곳을 방문했다고 한다. 학교의 현장학습 장소로 이용될 뿐 아니라 우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간혹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뒤덮고 있는 밀과는 사뭇 달랐다. 그것은 초기 재배종인 엠머밀(emmer wheat)이었다”라며 “
고대
로마인은 이 최초의 밀과 다른 밀을 교배하여 얻은 개량품종을 이집트 전역에 심었다”라고 썼다. 우리가 밀이라고 알고 있는 식물은 이 개량품종으로 보통밀 또는 빵밀(bread wheat)이라고 부른다. 오늘날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