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제대로 대답하기 등 5가지 항목에 대한 평가도 거쳤다. 연구팀은 코버트의 답안을 언어학자로 구성된 전문가들이 마련한 정답과 비교했다.임 선임연구원은 “간단한 개별 문장 독해를 제외하면 모든 항목에서 코버트가 인간의 수준에 못 미쳤다”며 “가령 ‘오늘 점심을 많이 먹으면 저녁을 굶을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되겠다는 목표만큼은 참가자들 가운데서 가장 뚜렷했다. 중학교 3학년 때부터 해양생물학자의 꿈을 꾼 그는 지난해 스쿠버다이빙 자격증을 취득해 인도양의 열대해양 생물들을 직접 관찰하기도 했다. 안 군은 “해양 생물 중에서도 산호를 더 깊이 연구하고 싶다”며 “대학에 진학한 뒤에도 해양 ... ...
- ebay에 경매로 나온 명품 공룡 화석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화석. 공룡 화석은 거실이 아닌 박물관에 있을 때 더 빛을 발하지 않을까. 박진영고생물학자이자 과학책을 쓰는 작가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방문연구원이다. 중생대 도마뱀, 목긴공룡, 새의 화석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했고, 지금은 아시아의 ...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공간 파악력 등 69개의 구체적인 특수 지능이 포함된다.한편 다중지능이론은 발달심리학자인 하워드 가드너 미국 하버드대 인지및교육학과 교수가 1983년 발표한 저서 ‘마음의 틀: 다중지능 이론’을 통해 처음 등장했다. ISBN 10:0465024335가드너 교수는 언어, 논리수리, 공감, 신체 운동, 음악,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몸을 개조했기 때문이지요. AM은 몸뿐만 아니라 정신도 바꿔 놓았습니다. 영민했던 학자를 유인원처럼 만들어 놓는가 하면, 평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던 사람을 걱정에 사로잡히다 못해 모자란 사람으로 만들었습니다. 원래 갖고 있던 정체성마저 바꿔 놓은 겁니다.이들은 AM이 던져주는 쓰레기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라니냐 ·멜라토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보고 아기 예수가 찾아왔다는 뜻으로 ‘엘니뇨’라고 불렀지요. 이후 1985년 미국 해양학자 조지 필랜더가 엘니뇨의 반대 현상을 ‘라니냐’라고 이름을 붙였답니다. ‘멜라토닌’은 ‘어두운’ 혹은 ‘검정색의’라는 뜻을 지닌 그리스어 ‘멜라스(Melas)’와 ‘세로토닌’이 합쳐진 말이에요.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동시에 충돌해 헬륨 원자로 융합되는 일은 확률적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미국의 핵물리학자 한스 베테는 ‘피지컬 리뷰’ 1939년 3월 1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항성에서 일어나는 핵융합이 탄소와 질소를 매개체로 하는 연쇄반응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doi: 10.1103/PhysRev.55.434 밤하늘의 별들도 1억 도가 ...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시작했다.돛을 이용해 우주를 항해한다는 개념은 과학적으로 실현 가능할까.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대기(바람)를 대신할 물질을 태양에서 찾아냈다. 태양계 전역에는 밀도는 다르지만 태양에서 나온 입자의 소용돌이, 바로 태양풍이 존재한다. 우주 돛단배의 동력으로 태양풍을 이용하면 된다는 ... ...
- [가상인터뷰] 수원청개구리를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 나는 수원청개구리야. 이름이 조금 특이하지? 일본 학자가 우리를 경기도 수원에서 처음 발견했거든. 그래서 이름에 ‘수원’이라는 지명이 붙었어. 하지만 수원에만 사는 건 아냐. 우리나라 서해안을 따라 경기, 충북, 전북 등에 살고 있지. 몸길이는 2.5~4cm 로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발전을 거듭해 현재는 모든 생물학의 패러다임으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다. 현대 생물학자들 사이에 여전히 치열한 논쟁이 진행 중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내부의 생산적 논쟁이지 창조와 진화의 논쟁 같이 쓸모없는 소모전은 아니다. 이 생산적 논의를 이끌어내는 원전이 바로 종의 기원이다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