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상회의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중 어느 누구가 발언하면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비디오 스위치에서 자동적으로 발언자를
포착
, 촬영하는 방식이며 별도의 숙련된 운용자가 없어도 간단한 조작으로 운용할 수있게 해준다.에코방지 기능은 화상회의에서 송화자의 음성이 상대방 스피커에 출력될 때 이 출력된 음성이 다시 그 회의실 ... ...
미·소의 잠수함 음파탐지 경쟁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이줄은 초(超)감도의 수중음파탐지의 기능을 하는것이다. 1백hz에서 3백hz까지의 저음도
포착
할수 있다는것. 줄(케이블)은 여러방향에 흩어져 있기 때문에 줄에 달려있는 여러개의 센서(탐지기)는 한곳에서 흘러나온 소리라도 각각 달리 탐지한다.이렇게 모아진 소리는 위성으로 보내지고 위성에서는 ... ...
핵무기 확장 경쟁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우주 방위예산을 짰다.이 구상은 다은과 같은 것이다. 먼저 적의 미사일 발사를 재빠르게
포착
한다. 이에는 조기경계위성, 초원거리감시레이더, 세계 각지에 설치된 심우주(深宇宙) 감시시스템(GEODSS.Ground Elecrro Optical Deep Surveillance System)등이 이용된다. 발사가 탐지되면 즉각 요격시스템이 움직인다 . ...
바다밑을 정복한다 만능의 잠수로보트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해저 1.6km에서 16km깊이의 추락예상지역을 뒤졌다. 그러다가 블랙박스에서 나오는 신호를
포착
하고 다가가 카메라로 블랙박스를 찍었다. 블랙박스는 약 2.2km의 해저에 있었다. 잠수부라면 들어갈 엄두도 낼수없는 깊이인것이다.스카랩은 블랙박스를 발견하자 위에서 조정하는대로 팔을 뻗혀 부숴진 ... ...
핼리별로 지구촌이 떠들석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받고있는 핼리도 자칫 '흉성'으로 전락하는것은 아닐까. 이번에 지오트가 핵의 정체를
포착
한다해도 '핼리혜성의 신비'는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핼리혜성은 계속하여 인류의 관심을 끌어갈 것 같다. 남반구 관측 여행붐우주공간에서의 탐색과 이에대한 이론 추구에 못지않게 지구상에서의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사용한다 해도 지구에서 이를
포착
할 수 있을 것이다. 외계 문명체의 약한 전파 신호를
포착
하기 위한 전용 전파망원경 건설이 계속 추진되고 있다. 미국은 '사이클롭스'(Cyclops)라는 야심적인 계획을 세워 놓고 있기도 하다. 이 계획은 직경 1백m의 안테나 1천5백개를 직경 4㎞의 대지에 원형으로 늘어 ... ...
챌린저의 비극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본체에서 보아 우측 고체로케트 아래쪽에서 이상한 불꽃이 분출되고 있음이 확실히
포착
되었다. 비디오는 챌린저 발사에 사용된 39B발사대의 북북서 9.4㎞에 있는 제10발사대의 70㎜ 카메라가 촬영한 것이다. 공개된 것은 발사후 58.32초에서 폭발 직전의 1분13.47초까지의 15.15초 간의 것이다. ... ...
능률높이고 행정공해 최소화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투기와 토지부조리를 근절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그동안 토지는 거래과정의
포착
이 곤란하다는 점을 악용하여 미등기 전매를 통한 투기가 가능했고 거래가격의 파악도 곤란하여 양도차익을 조세로 제대로 환수하지 못하자 불로소득을 노리는 투기꾼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토지주기로 ... ...
점점 커지고 화려해지는 핼리혜성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맑아져 관측자들을 안타깝게 하였다. 마지막날 밤, 겨우 핼리를 천체망원경(16㎝)에
포착
했으나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은 경우 20여분에 불과했다.이때의 핼리밝기가 5.4등급. 서쪽하늘 지평선 고도 20°정도의 높이였다. 이론적으로는 육안관찰이 가능하였으나 실제로는 보통 현미경(7㎜×50) 으로도 ... ...
박테리아의 세포침입
포착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보통 '에셰르시아 콜리'(E.coli)박테리아는 동물세포에 침입할 수 없다. 그러나 사진에서 보듯 소세지처럼생긴 이 박테리아는 실험실에서 배양한 폐 세포를 침투해 일반론을 뒤엎었다. 열쇠는 단 한개의 유전자.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랄프 이스버그'와 '스탠리펄코'박사는 적어도 이번 관찰에서 한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