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탐사"(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시절부터 우주를 알고 싶다는 꿈을 갖고 있었어요. 그 꿈을 계속 키운 결과 소행성에 탐사선도 보낼 수 있었지요. 독자 여러분도 우주를 볼 때 두근두근 뛰는 가슴을 어른이 될 때까지 소중히 간직한다면, 분명 훌륭한 우주 과학자가 될 수 있을 거예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흰배지빠귀 등 총 10종의 새 소리를 들었어요. (김신혜, 서울 동산초 5) Q 비무장지대 탐사라 위험하지는 않았나요?선생님들은 지뢰를 조심하라는 말을 몇 번이나 강조했어요. 길이 난 곳이 아니면 들어갈 수도 없었고, 지뢰 경고 표지를 볼 때마다 긴장됐지요. 이런 곳에서도 거침없이 곤충채집을 ... ...
- [가상인터뷰] 전기로 앞을 보는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가까이 있는 물체를 인식할 때는 전기를 발생시켰지요.일리 : 나와 같이 어두운 물 속을 탐사하지 않을래?코끼리주둥이고기 : 어류가 포유류처럼 여러 감각을 자유자재로 바꿔가며 주변을 살피는 경우는 제가 처음이라고 해요. 어류의 뇌가 지금까지 연구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주변을 인식한다는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필요하지요.소행성 발견에 가장 큰 공을 세운 건 2009년 NASA에서 우주로 보낸 적외선 탐사 위성인 ‘와이즈(WISE)’예요. 와이즈가 촬영한 사진으로 소행성을 찾는 ‘니오 와이즈(*NEOWISE)’ 프로그램을 통해 약 15만 개의 소행성이 새로 발견되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근지구소행성 관측 프로그램을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안녕! 난 전북 완주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 사는 ‘꿀벌 마야’야. 지난 달 5월 28일, 꽃과 벌집 사이를 열심히 날아다니며 꿀을 따고 ... 오늘 탐사를 통해 대원들은 귀화식물들에 대해 잘 알게 된 것 같아. 앞으로 우릴 만나면 탐사기록도 올리고 생태계교란식물 제거에도 힘써 줘 ...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영양사슴하늘소는 더듬이 끝 부분이 볼록하답니다.이렇게 장수하늘소를 찾기 위해 숲을 탐사하고 알려 주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하늘소를 비롯한 곤충을 징그럽다는 이유로 싫어하고 무서워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하지만 하늘소는 생태계를 지키는 소중한 일원일 뿐 아니라, 수세기 동안 인간과 ... ...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현재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에 속한 행성 중 인간이 살 수 있는 곳으로 꼽히는 것은 화성뿐이에요. 땅이 있는 행성 중에서 유일하게 과거에 물이 흘렀던 흔적이 발견됐거든요.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돛단배의 항성여행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획하신 장이권 교수님은 “생물과 생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재미있게 탐사하는 방법을 서로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고 싶었다”며 “생태를 주제로 한데 모여 재미있게 노는 방법을 한바탕 보여 준 즐거운 축제”였다고 말했답니다 ... ...
- [포커스 뉴스] 우주 극한환경 만들어 물질 결정의 본모습 찾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공중부양시키는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라며 “앞으로 신약개발이나 극한 환경 탐사를 위한 항공우주 분야, 초고온 핵융합 분야를 위한 신소재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월 24일자에 실렸다.KRISS 연구팀이 정전기 공중부양장치를 ...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합니다. 국가 에너지 정책과 지구환경도 다루죠. 암석역학은 이 가운데 광물자원 탐사에 필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암석과 암반의 역학적 거동을 연구하죠. 암석에 충격을 가했을 때 어떻게 변형될 것인가, 어느 정도의 충격을 줬을 때 파괴될 것인가, 특정 상황에서 어떤 기하학적 특성을 가질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