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것이다. 조선 세종 때 왕명으로 편찬된 ‘의방유취(醫方類聚)’도 있다. 의방유취는 총 266권 264책으로 이뤄진 거대한 백과사전으로, 당시 전 세계에 알려져 있던 모든 의학을 집대성한 책이다. 오래전부터 우리 선조들이 세계의 우수한 기술을 받아들임에 있어 주저하지 않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는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함께 개발했다. 2013년부터 개발한 닥터 허준은 2016년 1차례, 2017년 2차례 등 총 3차례에 걸쳐 살아있는 돼지를 대상으로 전임상시험을 진행했고, 이를 통해 안전성과 성능을 확인했다. 그리고 10월 24일 카데바로 진행한 마지막 전임상시험을 통해 임상시험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현재 닥터 ... ...
- [뉴스 포커스]수확의 계절, 수학하고 놀자! 제4회 광양수학축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열쇠고리’, ‘펜토미노로 조각 완성하기’, ‘라틴방진으로 컵받침 만들기’ 등 총 49개 프로그램을 체험했어요. 가장 인기를 끈 프로그램 중 하나인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에서는 사이클로이드 곡선으로 만든 미끄럼틀과 직선으로 만든 미끄럼틀에 동시에 공을 굴려 어떤 미끄럼틀이 더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무진동 차량과 전용 수송기 안토노프(AN-124)로 이송하는 데 꼬박 3박4일이 걸렸다. 총조립을 완료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고, 먼지를 차단하며,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데 만전을 기했다. 천리안 2A호는 이곳에서 인도의 통신위성인 ‘GSAT-11’과 함께 프랑스 ‘아리안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각도를 통제하기가 어렵고, 얼굴의 특징을 인식하기도 더 까다로웠습니다. 연구팀은 AI에 총 14종, 1만1637개에 이르는 영장류 이미지와 280개의 영장류 영상을 학습시켰습니다. 제인 교수는 “프라임넷은 훈련을 통해 영장류의 눈 주변에서 서로 구별되는 특징을 찾고, 흉터와 상처 자국 등을 인지해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대한 논란이 이어져 왔다. 지하실험연구단이 이끄는 ‘코사인-100 공동연구협력단’은 총 106kg의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을 개발해 암흑물질 검출기의 민감도를 높였다. 그 후 이를 이용해 다마 팀이 발견한 신호가 윔프가 남긴 흔적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하는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는 2016년 10월 2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영재성 개발하는 데 초점 과학전시관 영재교육원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과정은 총 네 단계를 거쳐서 이뤄진다. 일선 학교에서 중학교 1학년 교사가 학생을 관찰해 추첨하면,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영재교육원에 지원한다. 지원자들은 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시험 및 면접을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씨는 “다들 ‘내신을 버리고 정시에 올인한다’고 하는데, 1학년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총 10번의 내신 시험에 모든 것을 쏟아 붓는 것처럼 시험을 봤다”며 “그렇게 내신 공부를 한 덕분에 수능을 볼 때도 수월했고,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김 씨는 수능 두 달 전부터 문제 ... ...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팀은 달팽이의 꼬리에 약한 전기 충격을 주며 이에 반응하는 훈련을 시켰어요. 총 10회 전기 충격을 받은 달팽이는 충격을 받지 않은 달팽이보다 평균 50초 동안 몸을 움츠리는 방어 반응을 보였지요. 이후 연구팀은 이 달팽이의 신경계에서 ●RNA를 추출해 훈련을 받지 않은 다른 달팽이에게 ...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통해 밝혔다. 2007년 9월 발사된 돈은 11년 동안 소행성을 탐사했다. 돈이 항해한 거리는 총 69억km다. 돈은 2011년 7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 벨트에서 두 번째로 큰 왜행성 ‘베스타(Vesta)’에 도착해 1년간 탐사 활동을 펼쳤다. 2015년부터는 소행성 벨트에서 가장 큰 왜행성 ‘세레스(Ceres)’의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