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인구는 꾸준히 늘어왔거든요? 몇 천 년 전에는 1~2억 명이던 인구가 지금은 무려 70억 명
입
니다. 그 영혼은 다 어디서 왔나요?영혼도 새로 태어나지 않는다면 이 수많은 육체를 채울 수 없습니다.꼭 인간끼리만 환생을 한다는 보장은 없으니, 동물이 사람으로 환생했다고 볼 수는 있겠군요. 그러면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윗
입
술과 아랫
입
술의 각도가 클수록 호감도가 높아 상대에게 다가가기 쉬웠다. 또한
입
이 웃는 모양을 하거나 인중의 길이가 짧을수록 그 정도는 더욱 높아졌다.동안과 카리스마는 눈과 관련이 깊었다. 눈과 홍채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방을 동안이라고 느꼈다. 또한 턱선이 가파르거나 피부색이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샤크 만에서 ‘남방큰돌고래’떼를 관찰하다가 신기한 것을 발견했어요. 일부 돌고래가
입
에 천연 해면 스펀지를 물고 헤엄치는 모습이었지요. 수영하다가 바위에 부딪히거나 뾰족한 조개껍데기가 파도에 날아와도 다치지 않기 위해서지요.도구를 사용하다니 정말 영리하구나! 사람과 닮은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경사가 아니고? 상황파악을 못해 한참 머리를 굴리고 있는 기자에게 조 교수는 천천히
입
을 열었다. "이야기를 굳이 하자면…"이라고 운을 떼면서. 조 교수는 2003년 말 미국에서 박사후과정을 밟고 있었다. 그는 원래 'SAR11'이라는 박테리아를 찾고 있었다. SAR11은 바다에서 가장 많은 박테리아다.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팔의 진동을 이용해 측정하는 시간까지. 과학자만의 상상력이 돋보였다. 가장 압권은
입
으로 직접 물의 양을 맞추는 장면이었다.점점 서로가 친숙하게 느껴졌다. 예술과 과학 모두 아무도 가보지 않은 영역을 탐색하는 외로운 여정이라는 점에서 동료이자 친구였다.이제 시작일 뿐시간적, 지리적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걸까). 진화가 빚은 얼굴과 표정의 다양성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여기에도 진화가 개
입
했을 가능성이 크다. 뇌는 분명히 얼굴을 통해 사람을 구분하고 파악하는 쪽으로 ‘똑똑하게’ 진화했다. 하지만 그 동안 얼굴이 놀고만 있던 것은 아니다. 얼굴 역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싶은 마음이 나 스스로도 무섭다.” “온 몸에 고춧가루 뿌린 듯 열이 확 오르고,
입
이 바싹 마르고 온 몸에 통증이 있다” 등등.혹시 글을 읽으면서 ‘나 화병 아니야?’하는 생각이 든 분이 있나요? 나에게 억울하고 분한 마음과 함께 신체증상이 있는지 잘 살펴보세요. 진단기준이 있긴 하지만,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온 몸이 상처투성이로, 뼈가 부러지고 붙는 일은 다반사 였다. 머리에도 무수한 상처를
입
었다. 만약 네안데르탈인의 얼굴을 볼 수 있다면, 우리는 아마 고된 삶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네안 데르탈인은 힘든 삶 와중에도 빨간 물감으로 그림을 그렸다. 아마 그들의 눈은 예술적인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끝맺었다.“발병의 원인을 모른다는 건, 누구나 루게릭병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뜻
입
니다. 우리 모두가 조금만이라도 그들의 투병생활에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합니다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모든 관성계가 동일하다는 상대성이론의 가정이 떠오르지 않는가? 결국 관측자의
입
장에서 본다면 두 개의 우주가 존재해야 한다. 우주는 전체적으로 유니타리 진행할 뿐이다. 이 과정은 슈뢰딩거 방정식으로 완벽하게 기술된다. 붕괴니 확률이니 하는 따위는 모두 관측자라는 부수적인 존재가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