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지구사랑탐사대가 얼마 전 첫번째 생일을 맞았어요. 사람으로 치면 아기가 첫 걸음마를 떼기 시작한 셈이지요.그에 걸맞게 작년에 논과 밭을 누비며 수원청개구리 생태조사를 한 결과도 나왔어요. 지난 7월 5일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에서 만든 과학논문이 공개됐답니다. 이번 논문에서는 그동 ... ...
- Larva 와 함께하는 3D곤충체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 여러분 모두 우리를 알고 있지? 우린 애니메이션 라바의 주인공 레드와 옐로야! 이번엔 우리가 놀라운 곤충 세상을 여행하게 됐어.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열리는 3D 곤충체험전에서 말이지! 커다란 곤충이 생생하게 눈앞에서 움직인다고 생각해 봐. 정말 신나지 않니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으앙~, 억울해~! 난 억울하다고~! 어과동 친구들, 내 얘기 좀 들어 봐. 사람들이 자꾸 나한테 '살인진드기'라고 손가락질 해. 게다가 내가 사는 풀숲에 와서 우리 가족들을 모조리 잡아가고, 매캐한 냄새가 나는 살충제를 동네방네 뿌려대고 있어. 도대체 왜 사람들은 우릴 이렇게 못살게 구는 거지? 살 ...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꿀벌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꿀벌은 우리가 먹는 작물의 70%가 넘는 양의 수분을 돕기 때문에 꿀벌이 사라지면 심각한 식량문제가 발생한다. “사건이다~!” 재빈은 일일 명예기자이자 셜록홈즈를 잇는 명탐정이다. 사람들은 재빈을 ‘명예탐정’이라고도 부른다. 재빈은 빠르게 연필과 탐정수첩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장은 겨울에 담가야 제맛김치의 대표는 역시 배추김치다. 배추를 다듬고 한 나절을 소금에 절인 뒤, 고춧가루와 파, 마늘, 생강, 젓갈을 넣은 양념으로 버무린다. 그러나 오늘날 먹는 것처럼 고춧가루에 버무린 빨간 김치가 만들어진 것은 채 400년도 안됐다. 고추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은 조선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해야 할까, 말아야 할까? 포경 수술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하는 게 유익하다는 주장과 의학적인 필요성이 딱히 없다는 주장을 들어보면 각자 일리가 있어 어떻게 해야 할지 아리송해진다. 포경 수술에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판단에 도움이 될 정보를 정리해봤다."OO야, 아빠랑 어디 좀 가자.”30대인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난 여름 전력이 부족해지면서 에어컨을 껐던 기억이 생생하다. 하지만 대규모 정전, 즉 블랙아웃은 사실 여름보다 겨울에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이제 겨울철 난방 대부분을 전기로 감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어컨이야 알아서 덜 쓴다고 하지만, 겨울철 난방이야 어디 전기 쓴다는 생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최근 인기 가수 ‘엠블렉’의 멤버 지오가 자신이 기면증을 앓고 있음을 고백했다. 그는 “노래를 듣다가 잠들 뿐만 아니라 고음 부분을 노래하다가 잠들기도 한다”고 말해 화제를 모았다.기면증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갑자기 잠에 빠지는 질환이다. 정신을 집중해서 공부나 일을 해야 하는 ...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군 당국이 11월 22일 합동참모회의를 열고 차기 전투기를 스텔스 기능이 뛰어난 비행기로 요청하면서 사실상 미국 록히드마틴사의 F-35A로 결론이 내려졌다. F-35A를 비롯해 운동 성능이 뛰어난 유럽연합 EADS사의 ‘유러파이터 타이푼’, 이미 우리나라가 운영하고 있는 F-15를 개조한 미국 보잉사의 ‘F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2009년 제주 앞바다에서 잡힌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와 춘삼이, 삼팔이가 다음 달이면 고향 바다로 돌아가요. 돌고래들은 지난 4년간 참 말 못할 시련을 겪었어요. 하루 100㎞씩 바다를 헤엄쳐 다닐 만큼 활동적인 돌고래들이 교실 하나 크기의 작은 공간에 갇혀 지냈으니 오죽 답답했을까요. 사람들이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