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이
연령
춘추
연륜
d라이브러리
"
연세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계의 컴퓨터 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이 성과는 관련연구 및 국내 의학 물리 화학 분야의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세
대 의용공학과에서는 1982년 1차넬 EKG 모니터를 개발하기 시작한 이래로 1983년 4차넬 EKG, 혈압 체온, 호흡 모니터를 개발완료하여 국내외에 보급하였으며 1985년 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4차넬 ... ...
케이블TV와 통신위성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1957년 인류최초의 인공위성 스프트닉 1호가 하늘을 나르고 1964년 사상최초의 통신위성이 멋지게 태평양상공에 정지하면서 우주통신시대는 개막되었다. 1945년 10월 영국의 SF(공상과학소설) 작가 '아더 클라크'(Arrthur Clerk)는 3개의 정지위성(靜止衛星)을 이용한 전 지구를 한계통으로 묶는 통신시스 ... ...
오염된 강물, 되살릴 길은 없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큰 강들이 아직도 수질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강이 되살아난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문제는 산적해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 하천 수질오염의 원인과 현황 그리고 대책의 길을 알아본다.물은 생명의 근원 태초의 생명체는 물에서 부터 비롯하였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물을 이용하지 않는 것 ... ...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우리 동네의 공기는 숨쉴만한가 새로 고안된 PSI 지표를 이용해 서울의 대기오염을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죽음과 대기오염의 관계 1970년 '라센'(Lasen)이란 학자는 대기오염도와 '초과 사망자'(excess death)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음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초과 사망자란 평소의 자연사에 의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막대한 돈을 들여 우주 개발은 왜 하는가. 그것은 인류의 미래를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서이다.우주개발은 왜 하는가? 우리들, 지구인의 생존을 위해서이다. 왜 한국사람은 우주개발에 관심이 없나? 그것은 당면하고 있는 생활고 보다, 지구 위기에 대한 현실을 실감나게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 ...
점점 커지고 화려해지는 핼리혜성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이틀간 전국적으로 천체관측회를 가질 예정이다. 경기도 일산에서 관측을 계속하고 있는
연세
대 천문대산하의 한국 아마추어천문가회에서도 핼리의 고도가 높은 제주나 남해안에서 관측회를 개최할 예정. 3월 중순경에는 어린이회관 육영천문회에서도 제주도에서 관측캠프를 열 계획이다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경기도 양평지방은 극한지대인가. 지난 1월 5일 양평지방은 우리나라 평지로서는 최저기온인 -27.2℃를 기록했다. 이에 앞서 81년1월5일엔 -32.6℃를 기록, 양평은 혹한지대의 대명사처럼 되었다. 양평지방의 극한기록 양평지방에 동토지대와 같은 극한이 몰아칠 첫 조짐은 81년1월1일의 폭설로 시작되 ... ...
모형으로 재현된 50만년 전의 생활상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큰 석기도 눈에 띄어 덩치가 큰 동물도 사냥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유물들은
연세
대학교 선사연구실에 보관돼있다. 우리가 현재가지 과학교재로 사용했던 것은 금발의 네안데르탈인이나 크로마뇽인들의 생활모습.이번 복원된 금굴은 우리와 가까운 선인들의 생활상을 복원해냈다는데에 큰 의의를 ... ...
엔지니어 푸대접은 이제 옛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최종완회장이 서울공대 토목과를 거쳤고 박경섭부사장, 곽민식전무가 서울대와
연세
대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다. 동양나일론의 배기은사장이 서울대 화공과 출신이며 김영균전무 오응복전무 장동근전무 오창남전무가 모두 서울공대 동문들이다. 동양폴리에스터의 송재달사장도 서울대 화공과. ... ...
핼리혜성 다시오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성변등록'이다. 이것은 측후관들이 관측한 것을 왕에게 즉각 보고한 것이다. 현재
연세
대학교 중앙도서관에 3권이 보관되어 있다. 이 책에는 혜성이 발견된 3월5일(음력 4월1일)부터 3월29일(음력4월25일)까지 혜성의 모습과 위치를 기록하고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혜성 모양에 대한 8장의 스케치가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