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적
공적
위업
성과
공훈
성취
달성
d라이브러리
"
업적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무거워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활발했다. 불확정성 원리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하이젠베르크는 핵물리학 분야에서 많은
업적
을 쌓았다. 그 중 하나는 핵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핵력은 그 핵자들이 양성자이든 중성자이든 그 크기가 같다는 것이다. 즉 양성자와 양성자 사이의 핵력, 양성자와 중성자 사이의 핵력, 그리고 중성자와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연구 여건이 그 만큼 열악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각자의 전문분야에서 더 깊은 연구와
업적
을 성취해야 할 사람들이 천문대 전체의 부족한 부분을 개인적인 능력으로 겨우 메워가고 있는 것이다.해가 지면 퇴근하는 천문학자재미있는 것은 천문대 연구원들은 ‘별을 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 ...
한국과학사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가능성에 도전하기를 기대한다. 또 한국의 옛 과학자와 공학자, 그리고 기술자들이 남긴
업적
과 유산들 속에 살아있는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견하기를 원한다. 이를 위해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면면이 이어져온 전통과학의 유산들을 통사적이면서도 독립적인 시각으로 다시 보여준다. 책은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천문대의 주요한 관심사였다. 그래서 혜성 찾기는 상대적으로 아마추어 관측자들이 큰
업적
을 남길 수 있는 영역이었다.지금까지 아마추어 혜성 사냥꾼들이 혜성을 찾는 고전적인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50mm 대형 쌍안경이나 10-16인치 구경의 큰 반사망원경을 사용해 직접 눈으로 하늘을 살피거나,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둥지를 튼 생명공학 벤처사 바이로메드가 창립된지 4년도 안돼 숱한 화제와 굵직한
업적
을 쏟아내고 있다.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의 바이러스학연구실.안에 들어서면 하얀 가운을 입은 10여명의 연구원들이 실험에 열중하고 있다.실험실을 가득 채운 각종 시약과 검사장비,그리고 그 주위를 ... ...
과학자들의 콤플렉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때문이다.과학자들이 위대하고 그들이 위인으로 그려져야 하는 것은 결코 과학적
업적
때문만은 아니다. 다양한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해 한 분야에 매달리고 정진한 과학자들의 노력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과학자를 다시 평가해 보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 ...
생명의 신비에 도전하는 셀레라지노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03년까지 완성된 게놈지도를 공개할 예정이다. 물론 90% 진행된 인간게놈의 정보도 대단한
업적
이라 할 수 있고 그 자체로 의학과 생명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양국 정상의 최근 발표는 완성되지 않은 정보를 셀레라에 앞서 미리 공개함으로써 선진국 정부의 체면을 지키고자 ... ...
화폐에 등장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기여해서 고액권에 등장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세종대왕은 한글, 자격루 등의 과학적인
업적
을 남겼다.시대에 따라 바뀌는 존경받는 인물과학자 중에는 몇 명이 화폐에 등장했을까?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소속된 국가 중에서는 20여명, 전세계적으로는 30여명의 과학자들이 화폐 인물로 선정됐다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태양을 도는 행성등의 궤도가 원이 아니라 타우너이라는 것을 발견한 케플러(1571-1630)의
업적
도 그리스의 기하학이 없었다면 이루어지지 못했을 것이다.이처럼 수학은 시대마다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고 미래에도 그러할 것으로 예상된다.과학을 인도하다.일반상대성이론도 독일의 리만(1826-1866)이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알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한 열쇠가 바로 인공DNA였다.사실 생명과학의 역사적인
업적
뒤에는 항상 인공DNA가 있었고, 그 위력은 계속 나타나고 있다. 현재는 유전공학 분야에서 인공DNA가 없으면 하루도 실험을 진행할 수 없을 정도다.미국의 니렌버그와 코라나는 DNA를 인공적으로 합성한 후 이를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