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헤니파바이러스 단백질 구조 찾아 백신 개발까지 이어질까?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역할을 하는 G단백질의 구조와 숙주가 결합하는 원리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m5561 헤니파바이러스의 표면에는 숙주 세포에 달라붙는 G단백질과 침투에 관여하는 F단백질이 존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G단백질이 바이러스의 표면에서 연결되는 1개의 ... ...
- [가상인터뷰] 로봇 개발에 영감을 주는 개미 뗏목의 역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플로스 컴퓨터 생물학’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371/journal.pcbi.1009869 연구 과정과 의의를 연구팀과의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개미 뗏목’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홍수가 나면 붉은불개미는 뗏목 모양을 만들며 장거리를 ... ...
- 뇌과학으로 본 '마기꾼' 효과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아이들은 얼굴 전체를 인지하고 기억하는 능력이 저하됐다. 2021년 네덜란드에서 발표한 연구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감정 인지 정확도를 떨어지게 하고, 사람들 사이의 유대감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미국, 호주 등 더 많은 곳의 연구진들이 마스크 착용 효과가 유아, 어린이, 그리고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단거리 중성미자 진동 실험장치(NEOS)를 설치하고 연구를 진행해 2018년 첫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러시아, 일본 등에서도 비슷한 방식의 실험이 현재 진행 중이다. 암흑물질 낚기 위한 전 세계 과학자들의 총력전최근에는 원시 블랙홀도 암흑물질의 후보로 꼽히고 있다. 이현민 교수는 “원시 ... ...
- ‘으른’들이 자주 하는 거짓말은?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뇌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해 분석한 연구를 ‘네이처 신경학’에 발표했습니다. 처음 거짓말을 하면 편도체 활동량이 급증했습니다. 편도체는 뇌에서 감정을 처리하는 곳으로, 거짓말할 때 활성화 되는 부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할수록 편도체 활동량이 ... ...
- [드론으로 본 제주] 자연이 빚어낸 절경 ③ 동부과학동아 l2022년 04호
- 1100고지에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채취해 대기 성분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doi: 10.5806/AST.2016.29.5.209 퇴적물이 쌓여 길을 만든 성산 일출봉 제주 동쪽에는 약 5000년 전 수성 화산이 폭발하며 만들어진 성산 일출봉이 있다. 동쪽 절벽은 가파르고, 서쪽 절벽은 완만한 ... ...
- [융복합@파트너] 지속 가능한 태양광 해수 담수화 친환경 수자원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이용해 만든 태양광 해수 담수화 장치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디살리네이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천을 기반으로 소량의 셀룰로스 나노섬유를 이용해 광열변환 재료인 프러시안 블루를 고르게 분포시켰다. 그 결과 1시간 동안 단위면적(1m2)에서 2.22kg의 물을 증발시켰다.높은 효율과 함께 ... ...
- [통합과학 교과서] 황금알 낳는 닭 사시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12월, 중국지질대학교의 고생물학자인 리다 싱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이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공개한 화석입니다.이 화석의 이름은 ‘아기 잉량’입니다. 지난 2000년에 화석을 발견한 잉량 채석 회사의 이름을 따왔죠. 평범한 알 화석으로 생각했던 아기 잉량의 중요성이 알려진 것은 2015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없어요. 미국 워싱턴대학교가 이끈 국제 연구팀이 204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 1월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에만 전 세계적으로 120만 명 이상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세균에 감염돼 사망했어요. 가벼운 감염에도 항생제를 과도하게 사용한 경우 내성이 생기면서 정작 심각하게 감염됐을 때 ... ...
- [특집] 우주, 얼마나 넓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과학자로 꼽히는 아인슈타인은 1915년 우주에 ‘블랙홀’이 있다고 예측하는 수학식을 발표했어요. 2019년 실제로 블랙홀의 그림자가관측되면서 또 한 번 우주를 설명하는 수학의 힘이 증명됐어요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