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d라이브러리
"
민감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생식세포는 방사선에 의해 돌연변이를 얻기가 힘들다. 동물의 생식세포는 방사선에 매우
민감
해 형질변환을 일으키기도 전에 훨씬 적은 양의 방사선에도 살아 남지 못한다. 동물 생식세포의 방사선 반치사량은 수십만 밀리렘 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동물에서 유전공학적 기술을 이용, 유전자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이름을 얻게 되었다. 그것이 카오스이다. 1975년 미국의 제임스 요크는 '초기조건에
민감
한 의존성을 가진 시간전개'를 카오스라 명명했다. 비선형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자연 및 사회현상의 광대한 영역에 비추어 볼 때 혼돈의 발견은 아마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지 모른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에 ... ...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과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가진 사람은 어찌보면 행복한 사람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몸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민감
하게 경종을 울리는 보초병이 있다는 말이 되니까요. '알레르기 환자는 큰 병 걸릴 틈이 없다'는 말도 있을 정도입니다. ... ...
생활속의 '순간벼락' 정전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돼야 느낄수 있지만 여자는 약 2천5백V만 돼도 정전기 방전을 느낄수 있어 여자가 더
민감
하다. 이 차이는 단지 정전기에 한정된 것이 아닌, 모든 전기 현상에 해당한다.정전기는 단순히 불쾌감을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질병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정전기와 피부조직의 관계를 연구한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혼돈운동은 불규칙적이고 임의적으로 보이며, 또한 초기조건에도
민감
해서 매우 다루기 힘들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혼돈은 어떤 계에 대한 예측과 제어를 원하는 공학자들이 피해가야만 하는 대상은 아니다. 혼돈이론은 혼돈운동을 이해하고 그것을 규정짓는데 그치지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밀가루 알갱이가 1백번만 늘리고 접으면 우주의 양끝보다 멀어짐)을 초기조건에 대한
민감
한 의존성이라고 한다. 즉 북경에서의 나비 한마리의 날개짓의 팔랑거림이 계속 증폭되어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지구 반대쪽 뉴욕에서 폭풍우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라고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있다. 간상체는 명암정보만을 처리하지만 추상체는 빨강 파랑 초록 등 세종류의 색소에
민감
하게 반응하므로 색채시각을 제공한다. 색맹이나 색약인 사람은 추상체에 이상이 있기 때문이다. 수용기는 기능뿐만 아니라 분포된 상태 역시 서로 다르다. 간상체는 망막의 주변 부위에 많지만 추상체는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요크야말로 카오스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이다.로렌스가 주장한 '초기조건의
민감
성'은 일상생활 도처에 존재한다고 요크는 생각했다. 하찮은 일로 약속시간에 조금 늦게 나타난 정치가가 폭탄세례를 피해 살아남음으로써 그 나라의 정치발전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한 예라든가, 한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조사에 나섰다. 개펄은 많은 생물들의 서식처이며, 어린 생물들의 생육장이므로 매우
민감
한 환경이다. 그러나 개펄을 오염시킨 기름은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염 피해는 10년에서 20년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 바지락 양식장인 정포리의 개펄은 밟으면 기름 먹은 스펀지처럼 시커먼 기름이 스며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촉각을 확대한 것이다. 나방은 주로 밤에 행동하며 암나방에서 분비되는 성페로몬에
민감
한 반응을 나타낸다. 분비된 0.01㎎의 페로몬을 4㎞ 떨어져 있는 수나방이 감지하고 암나방에게 접근한다고 한다.꿀벌의 여왕벌도 혼인 비행 동안 수펄이 그녀를 따라와 수정을 할 수 있도록 페로몬을 분비한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