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비맨] 하비맨, 국내 1위 오목 기사와 배틀 뜨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초등학생 때 격자무늬가 그려진 공책이 생기면 무조건 하던 게임이 있다. 바로 오목! 연필과 공책만 있으면 누구와도 승부를 겨룰 수 있었다. 친구들과 3번 대결하면 2번 정도 이기는 무난한 실력의 소유자인 하비맨이 국내 랭킹 1위 오목 기사를 만났다. ※ 편집자 주취미를 묻는 질문에 언제나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든 생명체는 24시간의 생체리듬을 갖고 있습니다. 계절과 온도에 따라 이 주기가 변동될 것 같지만 생체리듬은 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생명체가 생체리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메커니즘은 60년이 넘도록 풀리지 않는 생명과학 분야의 난제였습니다. 지난 2015년, 한 수학자가 수학 모델을 토 ... ...
- [한페이지 뉴스] 별 집어삼키는 블랙홀, 별 만들기도 한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블랙홀은 흔히 우주의 모든 물질을 빨아들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은하 중심부 블랙홀이 주변 위성은하까지 영향을 미쳐 별의 탄생을 돕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카나리아 천체물리학연구소와 독일 막스플랑크 천문학연구소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가상 우주 시뮬레이션으로 12 ...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올여름 미국 동부 지역이 유달리 ‘시끄럽다’. 17년 만에 엄청난 무리의 손님이 찾아왔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바로 ʻ브루드 텐(Brood X)’. 이들은 17년마다 미국 동부 지역 일대에 등장하는 매미 떼로 누구보다 화려한 여름을 즐긴다. 격렬하게 소리치는 이들은 몇 주 뒤 생을 마감하고, 그들의 후손 ...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든 사람은 재능이 각기 다릅니다. 누군가에겐 아주 쉬운 일이 다른 누군가에겐 어려운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운전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십만 원을 들여 면허를 따고도 운전대를 잡지 못해 면허증을 신분증으로만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뜯어고쳐야 직성이 풀리는 공학자들이 이 ... ...
- [이달의 책]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발칙한 수학책최정담(디멘) 지음│웨일북404쪽│1만 9800원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일까?”이 단순한 질문에 전 세계에서 뜨거운 논쟁이 펼쳐졌다. 도넛 구멍이 두 개라 말할 수 없는 것처럼 빨대 구멍도 하나라는 1개파와 지구를 뚫고 들어가 반대쪽으로 나 ... ...
- [기획] 가짜뉴스, 너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가짜뉴스 녀석의 신상정보를 한번 살펴볼까? 생김새는 진짜 뉴스와 비슷하지만,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나 유언비어를 담고 있어서 가짜뉴스라고 불러.가짜뉴스는 사람들을 현혹하고 선동하고 있어. ‘바닷물 가습기가 만드는 미네랄 안개를 코로나19 환자들이 마시면 단 한 시간 만에 코 ... ...
- [매스크래프트] #19. 공평하지 않은 승부차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대~한민국! 짝짝 짝.짝.짝! 2002년, 초등학생이던 저를 방구석 응원단장으로 만든 엄청난 스포츠가 있었습니다. 바로 축구입니다. 규칙은 잘 몰랐지만 어린 퓨처킴은 응원하는 것이 너무 신나 방구석을 휘젓고 다녔죠. 그 후에도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축구경기는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데요, 이번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9화. 상반기 결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안녕하세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2021년도 어느덧 절반이 지나 벌써 7월이 찾아왔습니다. 코로나19로 여전히 힘들지만, 그래도 올해의 절반을 어떻게 보냈는지 함께 돌아볼까요? 독일에서 한국으로 제게 있었던 2021년 상반기의 가장 큰 변화는 독일 빌레펠트대학교에서 서울대학교로 옮겨와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과거 중국의 한, 위나라에서는 한강을 ‘대수(帶·띠 대)’라 불렀다. 한강의 모습이 한반도의 허리에 띠를 두른 것처럼 보이는 데에서 나온 표현이다. 고구려 광개토대왕비에는 크고 넓은 물이란 뜻의 ‘아리수’로 적혀 있다. 지금 쓰이는 한강이란 이름은 우리말 ‘한가람’에서 비롯된 말로 ‘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