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우주왕복선은 모두 다섯 대가 되었답니다.우주왕복선은 우주개발의 장본인으로 허블우주
망원경
이 오래도록 활동할 수 있게 만들었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만들 수 있게 했답니다. 하지만 이런 우주왕복선도 아픔이 있었어요. 1986년에 발사했던 챌린저호는 발사 직후 공중 폭발했으며, 2003년 2월에는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천체
망원경
으로 보면 토성의 고리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지구에서 보면 고리가 두 개처럼 보이고 그 사이에 까만 틈이 있답니다. 이 틈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카시니가 발견했습니다. 최근 토성 탐사선의 이름을 카시니라고 지은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는 두 개가 아니라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TEM) 등 60억원대에 이르는 첨단 과학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렌즈 지름 200mm 굴절 천체
망원경
이 설치된 천문대까지 마련돼 있어 웬만한 대학 연구동 못지않다. 대학처럼 학점 따고 졸업 논문 쓴다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에겐 수능 시험의 압박이 없다. 특기자 전형이나 수시 모집으로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용해 시리우스의 위치를 찾아야 한다. 별의 위치를 찾았으면 중간 배율 정도로 해서
망원경
을 들여다보자. 주의 깊게 살펴보면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희미하지만 하얗고 동그란 작은 점이 보일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시리우스다. 대낮에도 별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이 한편으로 참 신기하지 않은가 ... ...
별들의 고향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두껍고 먼지가 많은 구름에 흡수된다. 그러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적외선우주
망원경
‘스피처’는 구름과 먼지를 뚫고 나오는 적외선을 볼 수 있어 아기별들의 생생한 현장을 엿볼 수 있다.어린 별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하나는 붉은 색으로 보이는 부분에 모여 있다. 다른 그룹은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궁금증 셋!우주 생명체 발견은 시간문제다?!우주 생명체 발견 우주 탐사선 적외선우주
망원경
이 생명체가 있을만한 행성을 찾는다면 우주탐사선은 더 적극적으로 그 임무를 수행한다. 주로 물을 찾는 역할을 하는데 생명체가 살아남기 위한 조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물이기 때문이다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칼리스토가 있다궤도면은 모두 목성의 적도면과 대략 일치하며 궤도는 원에 가깝다작은
망원경
이나 쌍안경으로도 목성의 적도면상에 1직선으로 늘어선 4개의 갈릴레이 위성을 볼 수 있다갈릴레이는 목성을 도는 이들 위성을 발견, 계속적으로 관측하여 지동설(地動說)을 믿기에 이르렀다금속과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소스가 없는데 X선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찬드라 X선
망원경
으로 해당 지역을 자세히 관측하면 점 같은 X선 소스를 찾을 수 있다. 김 박사는 “7000개에 달하는 X선 소스를 정리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주의 거미줄 찾기이런 자료를 모아 우주를 시뮬레이션해서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송박사는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했다. 두 사람은 현재 하와이 마우나케아에서 거대
망원경
으로 우주를 연구하고 있지만 학문적 배경은 서로 다르다.표 박사가 일본 문부성 장학생으로 도쿄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01년부터 스바루천문대에서 일해 온 반면, 송 박사는 2000년 미국 조지아대에서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별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11월부터 12월 사이가 금성 관측의 최적기라 하겠다.천체
망원경
으로 보는 금성의 모습은 11월 4일 최대이각일 때 반달 모양으로 보이며, 이 시점을 지나면서 점차 크기도 커지고 초승달 모양으로 바뀐다. 이런 금성의 위상변화는 극적이어서 1주일 간격으로 계속 관측해보면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