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물리학을 공부했다. 학부 과정을 3년 만에 마친 뒤 5년 동안 공부한 끝에 양자역학에 관한 연구로 이론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물리학도의 길을 걷던 도브시 교수를 수학의 길로 이끈 건 프랑스 수학자 이브 메이에와의 만남이다. 도브시 교수는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AT & T 벨 연구소에서 ...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정리에 따르면 피자를 들었을 때도 가우스 곡률은 0이 돼야겠죠? 아래 그림과 같이 피자 끝을 잡고 들어 올리면 가로 방향은 평평하니까 곡률이 0이에요. 그럼 가로×세로에서 이미 0이 들어갔으니 세로 곡률이 무엇이든 곱셈의 결과는 0이겠죠. 따라서 피자는 제멋대로 휘게 돼요. 이때 우리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대 방향으로 연료를 뿜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발사될 때 다치지 않도록 얼굴을 로켓 반대 방향으로 돌리고요.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으니, 로켓을 발사시켜 볼까요? 페트병 가운데를 있는 힘껏 발로 세게 밟으면, 눈 깜짝할 사이에 로켓이 멀리 날아간답니다 ...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공룡을 멸종시켰을까. 보통 대멸종(大滅種)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중생대 백악기의 끝, 신생대 고제3기(古第三紀)가 시작되는 시기에 발생한 ‘백악기-고제3기 대멸종(Cretaceous-Paleogene mass extinction 또는 K-Pg mass extinction)’을 떠올린다. 약 6600만 년 전 일어난 백악기-고제3기 대멸종은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어떤 비율로 그려야 할까요? 한 시점(O)에서 지면과 평행한 수평면 하나를 그리고, 나무의 끝(A1, A2)을 지나도록 직선을 각각 그어 보세요. 그럼 눈 앞에 있는 캔버스에 두 선분 QP와 RP를 그릴 수 있습니다. △OQP와 △OA1B1은 대응하는 세 각이 같으니 닮음이고, △ORP와 △OA2B2도 대응하는 세 각이 같아 ... ...
- [화보] 섞으면 퍼즐도 예술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겨울 풍경 한중간에 봄이 찾아왔어요! 지붕 위를 덮은 눈도 녹았고, 앙상한 나뭇가지 끝엔 꽃과 잎사귀가 돋아났군요. 이 작품은 196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사계절 퍼즐을 섞어서 만들었어요. 겨울 퍼즐 중간에 봄 퍼즐을 섞어서 만들었답니다. 코끼리 기운이 쑥쑥! | 눈동자는 부리부리, ...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후 3초가 지나면 화면이 번쩍거리는 회로 등 다양한 시도를 해 봤어요. “몸풀기를 끝냈으니, 본격적으로 오늘 수업을 시작해 봐요. 지금부터 토이콘 중 ‘리모컨카’를 이용한 공놀이를 할 거예요. 리모컨카로 탁구공을 운반하고, 골대에 넣는 것이 오늘의 미션이랍니다.” 기자단 친구들에겐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발생량이 최고를 기록했다. 이 부분에서만 그래프가 요동을 쳤다. 분명 검사 시작부터 끝까지 기자의 마음은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차분하기 그지없었다. 이 경위는 “거짓말 탐지는 진실을 말할 때와 거짓을 말할 때 어쩔 수 없이 차이가 생기는 신체의 미세한 반응을 포착한다”며 “호흡,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담긴 캡슐을 안전하게 지구로 귀환시키는 일이 남아 있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2022년에는 파에톤을, 2024년에는 화성의 달(원래 소행성으로 알려졌다)로 밝혀진 포브스와 데이모스를 탐사하는 ‘화성 위성 탐사(MMX)’를 진행한다. 2026년에는 목성과 그 궤도를 공유하는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말이죠. 이탈리아 수학자 지오바니 사케리를 시작으로 많은 수학자가 연구를 거듭한 끝에 유클리드 기하학을 이루는 5번째 공리인 ‘평행선 공리’를 거짓이라고 가정해도 그 기하학에 모순이 없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오히려 평행선 공리를 부정하자 기존의 기하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