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 덕후, 젊은 연구자 첫발 떼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쌓아보는 걸 추천해요. 생물 관련 진로를 꿈꾸지 않더라도, 교수님과 연구원들로부터 과학적인 사고법과 전문적인 연구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건 귀중한 경험이니까요. 무엇보다 관심사가 비슷한 둘도 없는 평생 친구를 만날 수도 있고요 ... ...
- [4컷 만화] 레이저로 번개를 조종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신화의 제우스처럼 번개*를 조종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과학자들은 피뢰침에 이어 신의 무기로 여겨지는 번개를 다룰 수 있는 법을 찾고 있어요. 지난 1월 16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물리학과 연구팀은 고출력 레이저로 번개를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스위스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벌 때문에 속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같은 해충, 과도한 농약 사용,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 영향 등이 손꼽히고 있어요. 과학자들은 꿀벌이 사라지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전염병을 막기 위해 백신을 개발했어요. 최근 이 백신이 미국에서 사용 승인을 받았지요. 미국의 생명공학기업인 ‘달란 애니멀 헬스’에서 개발한 백신은 ... ...
- [뉴스&인터뷰] 드릴처럼 땅속 파고든다, 씨앗 심어주는 종자 운반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점도 있다. 다만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야오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현재로서는 부드러운 땅에서 잘 작동한다”며 “아직 토양 모든 유형을 연구하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대량 생산을 위한 최적화 단계도 남았다. 야오 교수는 종자 운반체 제작에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현재 냉동보관 중이다. 과학과 연구는 그렇게 이어진다. 2021년 7월, 임영운 서울대 자연과학대 교수팀은 서울대 동물 표본실이 방치된 채 있다가 곰팡이가 핀 현장을 우연히 목격했다. 곰팡이는 전시돼 있던 표본은 물론 플라스틱 통 뚜껑과, 나무 벽장까지 모두 뒤덮고 있었다. 공기 중에 퍼진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말을 남겼다.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도 가장 지구와 비슷한 행성, 화성.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 행성이 저주를 내린다고 자조하곤 한다. 그간 화성에 착륙을 시도했던 탐사선들이 실패를 거듭했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 NASA는 1975년 발사한 바이킹 1호부터 스피릿(영혼·spirit), 오퍼튜니티 ...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물리학자, 컴퓨터과학자들이었다. 예를 들어 2015년, 오드리 두슈투어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황색망사점균에게 학습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는 독성은 없지만 황색망사점균이 싫어하는 물질인 카페인과 퀴닌을 점균과 먹이 사이에 두었다. 그리고 6일이 지나자 ... ...
- 지구 너머 화성까지?! 우주 쓰레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1957년, 구소련에서 첫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던 때만 해도 인류는 우주에 무언가 쏘아 올리기만 해도 환호했어요. 하지만 한 해에도 천 개가 넘는 인공위성이 발사되는 지금, 이제 인류가 쏘아 올린 우주물체는 고스란히 수많은 우주 쓰레기가 되어 지상과 우주에서 모두에게 위협적인 ... ...
- 지구 궤도에서 바로 재활용?! 우주쓰레기 청소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청소위성이 그물이나 작살, 레이저 등으로 직접 제거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지요.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는 2027년을 목표로 ‘우리별 1호’의 귀환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별 1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으로 1992년 발사되어 2004년 교신이 종료됐죠. ... ...
- 산토끼 vs 집토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산토끼~ 토끼야, 어디를 가느냐?”동요에 등장하는 산토끼는 과연 어떤 토끼일까요? 산토끼는 우리가 반려동물로 흔히 볼 수 있는 집토끼와는 다르게 생겼답니다. 2023년 계묘년 토끼의 해를 맞아 산토끼와 집토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집토끼영어로 ‘Hare’라고 하는 산토끼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