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훨씬 복잡한 생명체로 진화할 수 있었지 않았나 추정해볼 수 있다. 셀레라는 이런
가설
을 뒷받침하는 특정부류의 단백질집단을 발견했는데, 바로 액틴세포골격에 포함되는 구조 단백질과 신호전달과 면역기능에 관련된 단백질들이다.인간의 게놈지도 작성이후의 생물학 연구는 프로테오믹스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위하여 개당 60-80t에 달하는 세그먼트를 총 42개(약 2천5백t)나 사용했는데, 이를 지탱하는
가설
장비 무게만도 1천2백t에 이른다. 초속 65m의 강풍에도 견뎌이 외에도 서해대교 건설과정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공법들이 대거 도입됐다. 우선 조수간만의 차가 9.3m에 달하는 아산만의 특성상,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플랑크가 양자
가설
을 주창한 다음해인 1901년 12월 5일 독일의 뷔르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김나지움의 교장을 지냈고, 아버지는 고전어 담당 김나지움 교사를 거쳐 뮌헨대학 교수를 지냈던 교육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5년 23세라는 약관의 나이로 양자역학이라는 학문의 건설에 ... ...
암 일으키는 돌연변이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다단백질 복합체에서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전자 손상이 인식되고 회복된다는
가설
을 가지고 DNA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원자수준에서 밝혀내고자 한다.이 연구의 가치는 생명체 내에서 유전자 손상을 인식,회복시키는 메커니즘과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있다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로베르토 벤지와 그의 동료들은 빙하기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새로운
가설
을 제안했다. 태양으로부터 끊임없이 유입되는 에너지에 의해 지구의 기온은 쉴새없이 변화한다. 이런 기온의 변화는 큰 규모에서 보면 대기온도의 요동이라고 볼 수 있다. 벤지 박사는 10만년에 한번씩 ... ...
5. 바다 응시하는 청동거상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청동상 전체를 주물로 하지 않고 어느 부분은 돌로 만든 다음 청동판을 붙였다는
가설
을 뒷받침하는 증거이기도 하다.정확한 위치와 구조에 대한 의문로도스섬의 청동상이 유명하기는 하지만 거상이 실제로 어디에 설치됐는가 조차 아직 확실하지 않아 학자들을 곤혹스럽게 만든다. 이와 같이 ... ...
12억원 상금 걸린 수학문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곡면에 대한 문제인 '푸앵카레 추측',아주대 이중섭 교수가 소수의 분포에 관한 '리만
가설
'을 설명한다.이번 강연회는 학생과 일반인들에게 수학의 관심을 불러일이키기 위해 계획됐다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별들로 이뤄진 은하라고 확인된 때가 20세기 초라는 점을 감안하면 18세기초 허셜의 이런
가설
은 놀랍다.오르간 연주하며 망원경 제작독일 북부에 있는 하노버의 군악대 오보에 연주자인 아이작 허셜에게는 10명의 자녀가 있었다. 그 가운데 여섯째인 윌리엄 허셜은 오보에와 바이올린의 연주 솜씨가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벼락이나 대기 중에 나타난 그밖의 전자기적인 요소에 의해 이들이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
을 세울 수 있겠죠. 아마 트래비스 월튼은 이런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았을테고, 무의식 상태에서 일행에서 떨어져 혼자 숲속을 헤맸겠죠. 눈에 띄지 않는 후미진 구석에 쓰러져 며칠동안 앓고 있었을 수도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
가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개념은 빈-플랑크 복사식이 실험적으로 입증됐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특별한 미봉
가설
로 간주됐다. 이런 이유 때문에 당시의 과학자들은 에너지 불연속 개념과 같은 혁명적인 개념의 사용에 대해서 그리 심각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심지어는 플랑크 자신도 자신의 열복사 이론이 지닌 문제점을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