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11
여러 분야의
한계
를 극복하려 하고 있다.예를 들어 반도체칩은 현재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
에 도달하고 있다. 조각가가 정과 망치로 원하는 형상에 이를 때까지 돌을 깎아내듯이 반도체칩은 원리적으로는 같은 과정인 리소그라피, 즉 식각공정기술로 만들어진다. 집적도를 더 높이려면 ㎚수준의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못한다고 한다.송 교수와 이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태반은 이 같은 현대의학의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열쇠인 것이다. 어떤 방법으로 폐가 미숙한 조산아의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을까.연구팀이 실험에 이용한 동물은 염소. 임신한 염소를 전신마취한 후 제왕절개한다. 자궁에서 태자의 뒷다리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10
걸쳐 있는 해분 래브라도·그린란드·뉴펀들랜드로 둘러싸인 구역으로, 북서쪽의
한계
는 데이비스 해협, 북동쪽은 덴마크 해협, 동쪽은 중앙대서양해령(海嶺)의 일부인 레이캬네스 해령, 남쪽은 플레미시캡의 북동쪽 연장선에 의해 뉴펀들랜드 해분에 접한다북쪽에 남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져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10
현재 주목받고 있는 천연가스나 원자력을 이용하는 생산방식 역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한계
가 있다.김종원 단장도 이런 부분을 인정한다. “자원고갈로 새로운 에너지 시대가 열리게 되겠지만 수소가 얼마만큼 주도할지는 이런 기술적인 난제들이 얼마나 빨리 해결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 ...
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10
대란이 시작되고 41년 뒤에는 지구에 매장된 석유가 바닥난다는 현실이다. 화석연료의
한계
를 극복할 대안으로 손꼽히는 것이 재생가능에너지와 수소. 이들은 과연 지구촌에 몰아 닥친 에너지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아직까지 현실이 되지 않았지만 궁극적인 미래 에너지로는 무엇이 있을까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10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수치모형이 실제 대기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표현하기에
한계
가 있는데다 다양한 기상관측자료로부터 최적의 기상변수를 얻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술 개발에 집중투자하면 앞으로는 면 단위의 정확한 예보까지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10
정도로 반감이 큰 원자력이 화석연료를 대체하기엔 왠지 꺼림칙하다. 수력 역시
한계
가 있다. 어떤 것도 화석연료와 양자택일할만하지 않다.21세기 에너지 소비 4백% 증가그렇다면 다른 후보는 없을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핵융합개발사업단의 한정훈 박사는 “핵융합뿐”이라고 말한다.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10
설명했다.운전자 과반응으로 차량 몰려다녀기존의 교통흐름 모델이 가진 또하나의
한계
는 자유흐름에서 차들이 몰려다니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자유흐름일 때는 희한하게도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차량이 무리를 지어 달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10
생활공간을 조성하는데 기본전제가 되고 있다.신선한 찬공기가 도시로 유입되는데는
한계
가 있다. 때문에 주거지 인근에 산재하고 있는 5ha 이상의 숲이 있는 구릉지는 적극 보호해야 한다. 도심으로 불어오는 찬공기를 보호하고, 주거지역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찬공기의 흐름은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09
스포츠과학자들은 이런 수치들이 연구자들의 주관적인 견해일 뿐 아직까지 인간의
한계
를 과학적으로 증명할 방법은 나와있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케냐 선수들이 마라톤 강자로 부상한 이유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황영조 선수의 모습을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