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6,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09
지난 학기에는 ‘인간과 우주’가 추가로 개설됐다. 기회가 된다면 기자도 토론에 참여해
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주제들이다. 주제뿐만 아니다. ‘인간과 우주’ 강의를 생각해 보자. 서로 떨어져 있던 분야 교수 10여 명이 하나의 주제로 토론하고 각 학문이 융합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지켜볼 수 ... ...
‘답정너’ 위로하는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409
지금 많이 힘들구나. 나 같아도 너처럼 느낄 것 같아’라며 자신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보고
어려운 상황임을 인정해 주는 말들에 더 마음을 열었다.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애써 긍정적인 이야기를 해주는 친구를 보며, 친구가 자신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괴리감을 느끼고 친구와의 관계가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
□ 다른 친구들에게 빌려 준 물건을 돌려받지 못하고도 참는다.□ 반 친구들이 만만하게
보고
때리거나 괴롭힌다.□ 다른 친구들의 대화에 끼지 못 한다.□ 항상 혼자 있다.□ 다른 친구가 시킨 심부름을 억지로 할 때가 있다.□ 소풍 갈 때 버스에서 함께 앉을 친구가 없다.□ 말수가 적어 무척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09
에볼라에 감염된 남자가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다. 경찰도 손을 쓰지 못한 채 바라만
보고
있다.서아프리카를 습격한 에볼라는 단 세 명에 의해 확산됐다. 사건이 최초로 시작된 장소는 기니 남부의 게케두 근처 멜리안도 마을. 최초로 환자가 발생한 시점은 작년 12월 2일이다. 막 걸음마를 뗀 2살배기 ... ...
제논 먹는 하마 CC3
과학동아
l
201409
유용한 산업·의학 자원 ‘제논’을 핵폐기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자원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유해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이 기술이 기존의 제논 분리기술보다 7배 정확하고 20배 이상 많은 제논을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09
수평 그라우팅 공법이 제대로 되지않아 깎지 말아야할 부분의 흙까지 쓸려 내려왔다고
보고
있다. 게다가 시공사는 굴착기 커터를 바꾸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동안 굴착을 중단했는데, 이것도 영향을 주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공사를 쉬는 동안 칼날과 지반 사이에 적절한 보강을 하지 않아 ... ...
[만화뉴스] 승부차기에서는 앞 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
수학동아
l
201409
골키퍼는 처음부터 한쪽을 선택해 몸을 던질 수밖에 없다. 키커가 공을 차는 것을
보고
몸을 던지면 공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골키퍼가 공을 막기 위해 쓸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자신의 다이빙 방향을 상대방이 알 수 없게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뿐이다.그러나 최근 영국의 인지과학자들의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09
18세기에는 계산기가 없어서 수학자들이 삼각함수나 로그와 같은 문제를 풀려면 도표를
보고
직접 계산해야만 했다. 그래서 계산하는 데 몇 주가 걸리기도 했다. 이에 영국 캠브리지대 수학과 교수였던 찰스 배비지는 계산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신해 줄 기계를 생각해 냈다.마침내 배비지는 1 ... ...
혜성,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409
풀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지구에 물이 존재하게 된 원인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로제타는 올해 초 31개월에 걸친 긴 잠에서 깨어나 추리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이 혜성이 1초에 두 컵 분량의 물을 뿜어낸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초등학교 때 과학전집이 날 이공계로 이끌어”
과학동아
l
201409
‘뭔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이 미지의 ‘뭔가’를 과감하고 도전적인 목표로
보고
수학 기호 ‘X’로 생각하자. X를 굴리고 확장하면 불안정하지만 훨씬 역동적이고 한번에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X를 실패하면 다른 방법으로 X를 찾고, 또 좀 더 높은 X에도 도전해보는 ‘X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