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펫서 몸무게 재면 10% 더 나가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맥카이 박사는 카펫 위에 눈금 저울을 놓으면 몸무게가 더 많이 나간다는 얘기가
사실
인지 알기 위해 그의 학생인 존 펜더가스트와 함께 여러 종류의 바닥에 저울을 놓고 몸무게를 측정했다. 그 결과 딱딱한 바닥보다 푹신한 카펫 위의 저울에서는 몸무게가 무려 10%나 많이 나간다는 것을 알아냈다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다각형이 주로 쓰이는데 이를 폴리곤이라 한다 폴리곤의 크기가 작을수록 3D 캐릭터는
사실
성을 갖게 된다3D 캐릭터를 만들 때 뼈대가 되는 부분 본을 바탕으로 폴리곤을 위에 붙이면 정교한 근육 움직임과 표정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물질 속에 있는 전자 하나를 밖으로 끌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의 ... ...
빨라진 대중교통·여전히 혼잡한 도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분당의 백궁역에서 서울 강남역까지 15분 걸린다. 무려 42분이 단축되는 것이다.
사실
런던, 파리, 도쿄와 같은 세계적인 대도시의 외곽으로는 급행전철이 이미 일반화돼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철은 승하차 시간을 포함해 평균속도가 시속 35km 정도인데, 해외 선진국의 급행전철은 시속 60km에 달한다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주전자나 항아리 같은 모양의 청자나 상감청자는 발견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사실
언론이 흥분해서 보도한 것과 달리 청자 그 자체로서의 가치는 그리 높지 않은 것이다.조동선씨가 처음 건져올린 2백여점의 청자를 놓고 청자를 잘 모르는 비전문가들이나 일부 언론이 수십억원대 문화재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남는다는 바퀴벌레가 지구의 주인이 돼 있을까.딥 임팩트에서는 충돌 이후라는 설정을
사실
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계엄령과 통행금지. 몇 년간 생존할 수 있는 거대한 지하 대피소와 그 안에 들어가도록 선택된 사람들. 인간의 가치는 역할과 기능만으로 평가된다. 식량과 연료를 공급받지 못하는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대한 정보만으로는 유전자의 존재를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좀더 중요한
사실
은 ‘유전자의 존재 = 형태학적인 또는 행동학적인 형태 결정’이라는 기존의 도그마가 깨지고 있다는 것이다.즉 유전자가 존재하더라도 그 유전자의 존재에 의해 아무런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 ...
신용카드 대체할 휴대폰 결제시대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지하철 등 광범위한 교통수단에 RF를 이용한 교통카드 단말기 인프라가 깔려 있다는
사실
덕분에 휴대폰 결제 역시 이 단말기를 활용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처럼 실물 가맹점에서 모바일 결제서비스의 원리를 단순화시키면, 스마트카드에서 올라간 결제정보가 RF·IR을 통해 휴대폰에서 ... ...
자신의 세포 이용해 장기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줄기세포도 배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처럼 생체 내에서 각종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는
사실
이 처음으로 증명됐다.미국 미네소타대 줄기세포연구소의 캐서린 버페일리 소장은 쥐의 골수에서 얻은 성체줄기세포를 쥐의 배아에 넣어 실험한 결과 노화현상 없이 다양한 세포로 분화한 것을 확인했다고 ... ...
임신 유지시키는 정자 속 단백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또한 자궁이 정자와 접촉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이물질에 대한 면역 내성이 커진다는
사실
도 알아냈다. 이런 결과는 콘돔을 이용해 오랫동안 피임을 해온 부부가 아이를 갖으려 시도할 때 잦은 유산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로버스튼 박사는“이번 결과를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사용된다. 인프라인 셈이다.때문에 나노장비는 산업화가 상당히 진척돼 있는 편이다.
사실
나노기술의 시작도 나노장비의 개발로부터 비롯됐다. 제3세대 현미경으로 불리는 주사터널링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과 원자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이 각각 1982년과 1987년에 ...
이전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