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램프
스탠드
비탈길
경사면
배면
등고자비
자비
뉴스
"
등
"(으)로 총 43,87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놀랐다...정수론 난제 해결한 고3
수학동아
l
2022.12.03
가장 권위 있는 수학·과학경시대회인 ‘리제네론 과학경시대회’에서 발표했는데 최종 4
등
을 했어요. 이 수상이 합격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해요." 수학동아 DB Q. 8개월 동안 포기하지 않고 한 문제를 푼다는 게 대단한 것 같아요. "긍정적인 성격 덕분인 것 같아요. 저는 대체로 모든 일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글 양자 프로세서로 순간이동 ‘웜홀’ 가능성 엿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3
일반 상대성 이론은 천체물리학에서 묘사하는 천체의 고에너지와 물질의 밀도
등
물리 세계를 설명한다. 양자역학은 물질을 원자 세계 수준에서 설명한다. 양자 중력은 블랙홀 내부처럼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이 관련되는 물체를 설명하는 물리 이론 가설이다. 하지만 양자역학과 일반 ... ...
새로운 비만 치료법
등
장…양전하 나노물질로 내장지방 없애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지방 중에서도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내장지방은 마땅한 치료법이 없었다. 팔뚝살
등
피하지방을 제거하는 지방흡입술은 침습적 방법으로 내장지방 제거에는 적합하지 않다. 연구팀은 내장지방을 이루고 있는 지방세포가 음전하를 띠고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음전하와 반대되는 성질인 ... ...
종이만큼 얇은 메타표면으로 빛의 특성 자유롭게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보였다. 이는 양자광학뿐 아니라 광통신, 광신경망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안면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성과다. 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광학 분야의 오랜 난제였던 빛의 세기, 위상, 편광의 완전한 조절을 해결했을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모든 편광 선택적인 선형 광학계 ... ...
방역당국 "2주 후 감소세 전망 두고봐야"…한파·인플루엔자 고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9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 전망했다. 지난달 15~29일 감염재생산지수와 확진자수 수치
등
을 분석한 결과다. 수리연과 대한수학회가 운영하는 코로나19 수리모델 태스크포스(TF)가 격주로 발간하는 이 보고서는 최근 확진자 상황을 수리모델링으로 분석해 확진자 발생 추이를 예측한다. 방대본에 ...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청소년 뇌는 3년 더 빨리 늙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영국 런던 버크벡대 인지신경과학과 교수는 "청소년들이 팬데믹 상황에서 불안과 우울증
등
겪는 어려움들을 확인한 연구"라고 평가하며 "이러한 뇌의 변화가 일시적인 것인지 지속되는 현상인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된다. 앞으로 2023년, 2025년, 2026년, 2027년 4차례 예정된 누리호 발사에 참여해 발사 운용
등
관련 기술을 이전받게 된다. 체계종합기업 선정이 완료되며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도 차질 없이 수행될 예정이다. 2023년 발사될 누리호 비행모델 3호기는 올해 12월까지 단별 조립을 완료할 예정이며 ... ...
몽골서 '다이빙 새' 닮은 반수생 육식 두발 공룡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2.12.02
정도 크기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공룡은 후기 백악기인 7천200만∼7천100만 년 전 호수
등
민물 지대였던 고비 사막 일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Communications Biology 논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 공룡이 골격은 전형적인 수각류 육식 공룡이지만 갈비뼈가 잠수하는 새처럼 꼬리 ... ...
"그리드망에 재생에너지 결합, 복잡계 과학이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윤의준 한국에너지공대 총장이 1일 열린 한림원탁토론회에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캡처 "전력망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복잡하고 커 ... 계산으로 산소 이온 확산 경로를 예측하거나 인공광합성의 단계별 기작을 연구하는
등
다양한 곳에서 기초과학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덧나는 상처 실시간 감시하고 치료하는 '스마트 붕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넣었다. 외부 감염
등
으로 상처에서 40도 이상의 열이 나면 원격으로 연결된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로 경고 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전기 기판은 상처 부위에 전기자극을 가할 수도 있다. 전기자극은 우리 몸의 백혈구 수를 늘려 피부에 있는 항염증성 유전자 및 근육과 연조직의 성장을 ... ...
이전
996
997
998
999
1000
1001
1002
1003
10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