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경학
사회 생태학
d라이브러리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학제간 예술 또는 뉴미디어 예술로 분류되며 언어학, 인류학, 천문학,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이론이나 관점을 결합하고 이를 예술의 영역에서 ... 분야입니다. METI 분야의 연구자로서 제 목표는 외계지성체에게 ‘
인간
의 언어’를 알려줄 방식을 찾는 것입니다.
인간
에게 언어란 의사소통 수단을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doi: 10.1101/2023.12.27.573442 신야 시키나 대만국립해양대 해양환경 및
생태학
연구소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2011년 2월, 대만 난완만의 해머산호 군락지를 ... 암컷과 수컷 사이의 해부학적 차이도 크다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쥐나
인간
처럼 지상에서 사는 포유류들은 물고기나 산호처럼 체외 수정할 수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일,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설명했다. “
인간
이 가진 특별한 능력을 잃어가는 셈”이라고 ... 과학 연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생태학
연구자들이 작은 곤충 등을 살아있는 채로 ... 사실은 미야시타 교수가 전기나 감각이 아닌 ‘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HCI)’ 연구자라는 점이다.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추가로 토양의 능력을 회복시키는 방법도 있다.
인간
이 농업과 산업 또는 가정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 하는 등 토양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인간
이 토지를 이용하는 방식이 지표면의 에너지와 물 ... 범람할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다. 많은
생태학
자들은 습지를 보호하는 것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2023 지구사랑탐사대 리더단 심화 탐사 아카데미
기사
l
20230724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박쥐가 무섭다고 외면하고 피해버린다면 박쥐와
인간
은 서로 변화 되는 환경을 알지 못하게 되고 서로에게 피해를 줄 수도 ... 연구를 하며 제주 해안을 살고 있는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서식지 조사와
인간
활동이 야생돌고래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돌고래의 생활사 연구를 하고 ... 우리 곁에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1월의 BOOK소리: 말하는 나무들
기사
l
20200304
'호리비단벌레' 라는 곤충이 물푸레나무를 감염시켜 죽이는데, 이 나무가 죽은 지역과 죽지 않은 지역의
인간
의 사망률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물푸레나무가 죽은 지역에서 심혈관 질병으로 15,000명, 하부 호흡기 ... 그물인 균근망을 통해서 나무 한 그루는 다른 식물들과 나무 수백 그루와 연결 되어 있을 것인데, 이것을 삼림
생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